삼국지 기행 2 - 길 위에서 읽는 삼국지, 개정증보판 삼국지 기행 2
허우범 지음 / 책문 / 202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허우범님의 <삼국지기행2>를 마져 읽었다.  연대기적으로 흘러가는 삼국지연의(나관중) 이야기와 삼국지(진수)의 이야기의 비교도 좀 더 알게되면서 우리가 아는 삼국지에 대한 새로운 흥미가 생기기 시작한다.  삼국지에 나오는 각종 지역 명칭 등을 찾게 되고, 인물에 대한 설명도 인터넷에 찾아서 추가적인 정보를 얻으면서 이 책을 읽어나가니 재미가 나면서 뭔가 큰 그림을 다시 그려가는 느낌도 든다.  역사적인 사실과 허구에 대한 차이를 각별히 느껴야 하는 것이 삼국지가 아닌가 싶다.  사실, 우리는 삼국지를 소설책으로 알고는 있는지 역사책인 것처럼 느끼고 살아오지 않았던가.

<삼국지기행2>도 2개의 장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장은 12가지의 주제로 이야기를 이끌어 간다. <삼국지기행1>의 1,2부에 이어 3,4부로 이루어진 것인데, 3부 "용쟁호투의 역사와 전설" 그리고 4부 "천하는 누구의 것인가"로 구성이 되어 있다.  1권에서는 장비의 이야기가 거의 안나오는데 이번 2권에서는 장비의 이야기가 좀 더 많이 나온다.  적벽대전에서 패배한 조조의 이야기 여운을 뒤로하고 다시 조조의 관도대전의 승리와 북진에 대한 이야기, 업성과 동작대에 대한 이야기, 건안문학(조조가 창시)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  그러나, 이런 역사적인 사실에도 불구하고 나관중의 삼국지연의에 영향을 받아서 그런지 조조는 한나라를 찬탈한 잔악한 도적쯤으로 분류하여 "역사적 사실"로 매장되어 왔는데, 이제 조조는 눈부시게 복원되고 있다는 사실을 적시하며 <삼국지기행2>가 시작된다.

이 책을 통하여 역사적 사실과 소설의 허구를 아는 것 그리고 각 유적지를 찾아나선 저자의 여정과 설명을 그림과 사진으로 보는 것의 재미도 있지만 저자가 다시한번 강조하여 두는 것은 중국인들은 현실적이라는 것 그리고 그들에게 있어 허구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다.  자신의 부귀영화와 복을 받을 수 있다면 천만 명의 허구적 인물에게도 소원성취를 빌수 있다는 것이다. 이런 믿음이야 누구에게나 있는 것이 아닌가?  그러나 문제는 이런 믿음이 밖으로 표출되면 문제가 된다는 점이다.  중국의 동북공정사업 또한 필요하면 만들어내는 중국적 사고방식에서 기인된 것으로 저자는 보고 있다. "지금은 어불성설이라도 밀어붙이고 백년 천년 지나면 역사라고 우긴다."는 것이다.  여기에 중국의 사서를 맹목적으로 수용할 것이 아니라 비판적이고 객관적으로 살펴야 하는 이유가 있다는 것이다.

잘못된 아홉이 사실이라고 떠들면 진정한 하나는 묻혀버리는 대중적인 심리를 활용한 것이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라는 생각을 후흑의 대가 유비, 관우, 장비와 그 주변의 핵심인물과 관련된 이야기를 읽어 나가며 장비에 대한 이야기를 읽으며 후사가 없는 장비의 두 딸이 후주 유선의 황후가 되었다는 것이나 형주에 대한 유비와 손권의 싸움, 손권의 여동생 손부인이 유비에 시집가게 되는 이야기, 조조와 순욱,  한중지역에 대한 싸움, 조조의 위왕등극, 유비의 한중왕 등극, 관우의 교만함 등등에 이어 촉의 건국과 패망, 오의 패망, 그리고 역사의 승리자 조조가 화려하게 등극하였으나 이도 잠시 사마의, 사마사, 사마소 그리고 사마염의 등장과 진(晉)에 이르기 까지 대서사를 정리하여 준다.  결국 도돌이표같은 역사, "천하는 공물이다."로 맺는다.  "그 모든 흥망성쇠의 변주도 결국은 자연을 벗어나지 못하고 인간의 욕심과 사고도 자연 속에 있는 것이니 천하가 공물이되 그 주인 역시 자연인 것이다. p467" 

<삼국지기행 1,2>를 읽으면서 새삼 느끼게 된 것은 삼국지를 제대로 모른다는 것이였다.  저자의 글을 따라가다보면 넘쳐나는 지역명칭과 인물 등등에 인터넷 사전을 뒤지거나 추가적인 정보를 얻기위하여 잠시 책을 덮고 찬찬히 읽어보기를 반복하였다.  아무튼, 새로운 삼국지를 읽은 기분이 들고 저자의 "술술 삼국지"를 읽어야 겠다는 생각도 든다.  삼국지야 말로 아는만큼 보이는 것이라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