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양 자본주의 백과전서 - 주성하 기자가 전하는 진짜 북한 이야기
주성하 지음 / 북돋움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처럼 남북이 소통을 하는 시기는 없었던 것 같다.  2018년은 단숨에 북미정상회담까지 이루어냈다.  TV에는 연일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웃는 얼굴이 자주 나온다.  불과 연초까지만 해도 미지의 인물을 안방에서 TV로 매일 매일 보며, 하루 하루가 달라지는 남과 북의 모습을 보면서 빠르게 장막이 거치는 느낌이 든다.  이제 많은 부분, 북한을 빨갱이집단이나 늑대의 모습을 하고 인민군 복장에 빨간 별표를 한 공산당의 모습을 연상하는 사람은 없다고 봐야 한다.  남과 북이 따로 떨어져있으면서 하나가 되고자 하는 의욕이 고조되는 순간이다.

나는 북한하면 떠오르는 것이, 통제와 가난이 제일 먼저 떠오른다.  그리고, 우연한 기회에 일게된 이 책 '평양 자본주의 백과사전'(주성하 지음)을 통해서는 제일 인상적인 단어는 '장마당'이다.  이 장마당을 사회주의 국가에서는 없는 것은 아니지만, 이 장마당을 통하여 온 세계가 경제적인 제재를 통하여 압박을 하더라도 꿋꿋이 버틸 수 있는 힘이 되고, 또한, 북한의 정치가 버틸 수 있는 힘이 되었다는 것을 실감하게 된다. 그리고, 중앙간부와 결부된 각종 비리와 뇌물등은 북한만의 것은 아니니라...중국등에서도 이미 많은 부분 발생하고 최근에 정치권에서 크게 처벌하는 수준이지만, 아직은 그 단계는 아닌 것 같다.  당간부 등이 장마당 등에서 큰 돈을 번 전주와 결탁을 하여 부를 축적하는 모습은 전혀 낫설지가 않다.  문제는 북한 통화의 가치가 거의 없음에도 달러, 유로, 위안화 및 엔화를 중심으로 거래를 하는 장마당만 전국적으로 400개 가까이 된다고 하니 그냥 죽으라는 법은 없는 모양이다.

아파트 재건축 등의 붐으로 가격이 수십배씩 뛰는 평양의 모습부터 술문화, 음식문화, 밤의 문화, 남한의 노래, 연속극등을 즐기는 문화 그리고 별 도움이 안되는 109상무에 관한 이야기 등은 어쩔 수 없이 뒤쳐진 북한 문화를 이야기 하지만, 개방이 되었을때 그만큼 폭발적인 성장동력으로 작동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자원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 만큼 많지가 않다는 부분은 새로운 뉴스이고, 영어, 피아노, 탁구를 배우는 열풍과 남한처럼 치맛바람과 그 교육열은 역시 한민족이라는 생각이 든다.  남여상열지사를 감시하는 부화행위를 통제하는 모습이나 무동력 보일러, 매춘(동태국밥), 가스중독, 50여명의 게이 총살 등등의 이야기가 나온다.  창업 아이템이야기도 나온다. 역시, 어딜가나, 의류와 악세사리 얘기가 등장한다.

평양을 알면 돈이 보인다는 구절도 보인다. 남북의 교류가 활발해지고, 투자가 가능해지면 어떤 사업이 뜰까...지금 평양에서는 당구장 열풍, 탁구장 열풍이 불고 있다고 한다.  우리의 70~80년대쯤으로 보인다.  배구장 사업이 탁구장사업을 따라잡고 있다는 부분은 특이하다.  정합 서비스몰이 뜬다고 한다.  이것은 남한의 현재와 어느 정도 비슷해 보인다. 치킨, 한우, 삼겹살, 미용실 등은 아마도 들어가면 대박날 것 같다. 단, 평양에서.  나머지 지역은 아직 시기상조가 아닐까.  

북한은 저자의 말대로 '갈라파고스식'진화를 하고 있다고 한다.  결국, 개방이 되어 섞이면서 외부와의 융합을 통하여 달라지겠지만, 중국에서의 '관시'처럼 북한에서는 힘이 있는 사람과의 연결된 관계 그리고 무슨 일을 하던 그 사람의 주머니에 들어가는 돈이 얼마라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은 걱정이 된다. 당장은 아니겠지만, 북한도 그나마 조금씩 신용사회로 간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돈을 꿔준 사람은 1등 바보, 꾼 돈을 돌려준 사람은 특등 바보'라는 말은 아직 갈길이 멀다는 생각이 들게 한다.  따라서, 민간인끼리의 거래보다는 정부와 기업간의 거래가 더 안전할텐데 이 마져도 상당히 제한적일 것 같다. 우리가 이미 중국이나 베트남과의 거래에서 많이 경험을 했기때문에 초창기의 리스크는 그리 낯설지가 않을 것 같다.  결국은 북한도 중국, 베트남처럼 점진적으로 개방되고 잘먹고 잘사는 나라가 되길 바랄 뿐이다.  그래서, 남과 북이 자유로이 그리고 안전하게 왕래할 수 있는 시간이 빨리 오기를 바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