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미안해 - 내 멋대로 살던 나. 엄마를 돌.보.다.
마쓰우라 신야 지음, 이정환 옮김 /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느날 그저 자신의 어머니가 건망증이라 생각했을 뿐이었다. 그러나 그 증상들은 점점 심해지고 결국 저자는 어머니는 결국 치매판정을 받게 된다. 저자는 자신의 어머니가 치매라는 것에 도저히 믿기지 않지만 점점 증상이 심해지게 되고잘나가던 기자였던  50대 독신남인 저자는 어머니를 병원에 모시고 가서 치매판정을 받게 된다. 그날 이후 그는 치매 어머니와 생활하게 된다. 점점더 어머니와 함께 하는 시기에 길어지게 되고 자신의 일 또한 점점 할수 없게 되는 시점에 그는 어머니와 자신을 도와줄 치매제도를 찾게 되고, 그리고 어머니의 치매의 진행속도를 체험하게 된다. 어머니와 함께 하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고 수입도 줄어들게 되면서 그는 점점 더 정신적으로도 힘들어하게 되고, 자신의 어머니의 변화해 가는 모습에 힘들어 하기도 하지만 그 시간이 치매의 진행속도가 빨라지고 결국에는 실금의 단계까지 이르게 되면서 좌절하게 된다. 하지만 자신의 어머니이기에 헬퍼들에게 도움을 청하기도 하고 자신이 힘들때는 데이케어등을 이용하는등 주위의 제도를 찾아 치매어머니와 생활한다. 그는 치매에 대해 몰랐던 저자가 어머니의 치매로 인해서 시행착오를 겪어서 제도의 장단점과 그리고 주위에 치매노인들과 가족을 위해서 제도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도움을 받게 된다. 그리고 점점 더 심해지는 어머니로 인해서 급기야 그는 어머니에게 폭력을 행사하게 되고 그는 헬퍼들과 동생들의 도움을 받아 어머니를 집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시설로 모시게 된다. 어머니를 모시게 될 곳도 발품을 받고 헬퍼의 도움을 받아 신중하게 발품을 팔아 다니게 되고 모시게 된다.  2년동안의 짧으면 짧고 길다면 긴 치매 노모와의 전쟁같은 생활을 우리에게 사실적으로 들려주고 있다. 그리고 저자는 어머니와 함께 하면서 현실적인 문제와 사회적인 고민, 그리고 치매노인의 가족으로서의 고민들을 사실적으로 들려주고 있다.


사실 우리보다 더 고령화된 일본사회에서 그들이 치매노인을 위해서 어떠한 제도를 활용하고 있는지, 그리고 저자를 통해서 쳬계적으로 되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사실 얼마전 다큐에서 치매노인을 모시는 아들의 이야기를 본적이 있었다. 직장을 그만두고 어디 시설에도 모시지 못하는 그 아들의 모습을 보면서 점점더 아들은 그 노모와 함께 병들어 가는 모습을 볼수 있었다. 일본은 쳬계적으로 제도가 되어 있지만, 우리의 지금의 모습은 어떠한지 암담하기만 하다. 사실 치매노인이 있는 가족들을 보면 힘들어 하고 갈등까지 있는 모습을 볼수 있다. 결국에는 요양병원으로 모시게 되는데, 그것도 경제적으로 여건이 되어야만 하지, 경제적으로 힘든 가족들은 오롯이 치매노인의 모습을 그대로 보고 돌보아야 만 한다. 얼마나 가족들도 피폐해지고 노인또한 얼마나 힘들겠는가. 점점 더 늘어 가는 치매노인인구가 있는데 우리나라 또한 쳬계화된 치매노인을 위한 제도가 세워져야 하지 않을까 싶다.


부모님을 향한 마음은 다 똑같지만, 치매라는 병으로 인해서 가족이 붕괴되기도 하는 요즘 추세에 저자 또한 자신 또한 힘들어지고 노모를 향한 공격으로 인해 자신 또한 피폐해지는 과정까지 드러내 주면서 우리에게 메세지를 던져주고 있다. 우리에게 닥쳐올 문제일수도 있는 이야기 일수도 있는 치매, 좀더 알아두는것 또한 좋지 않을까 싶다. 점점더 고령화되는 사회속에서 우리의 모습은 어떠한 모습일지, 궁금하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