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건국 잔혹사 - 설계자 이방원의 냉혹하고 외로운 선택
배상열 지음 / 추수밭(청림출판) / 2018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조선건국 잔혹사'(배상열 지음)를 읽다보니 조선은 이성계보다 이방원, 역사는 패자는 없고 철저히 승자중심의 기록, 그리고 합리적인 의심이 들어설 자리가 없을 만큼 수 없이 만들어진 드라마나 영화같은 것 때문에 각종 실록에 기록된 극적인 사실만을 합리적인 의심없이 받아들이며, 역사의 또다른 깊은 진실을 놓치는 결과를 가져왔을 수 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보이는 것이 전부가 아닌 것이다.  기록을 그렇게 잘했다는 조선에서, 그 기록이 승자중심으로 각색이 되었다는 것은 정확성의 문제보다는 왜곡에 더 가까운 것 같다.  우리가 흔히 아는 정몽주를 암살한 것은 이방원이라는 사실을 실록 등 각종 사료를 통하여 하나 하나 짚어가면서 그 살해의 주체는 이성계이고, 이방과가 주도적으로 했을 것이라는 것은 이방원의 그 당시 나이나 경력에 비추어 보며 합리적인 의심을 통하여 접근해 가는 세세한 설명은 설득력이 있다.  

고려와 조선을 넘나들면서, 이성계의 집안내력이나, 한씨소생과 강씨소생 그리고 이성계의 세자책봉 등으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소위 과거의 적폐를 깨끗이 털어내려는 정도전의 숨의 의지도 엿보이지만, 결국, 상황은 왕자의 난으로 이어지며, 이방원이 사실상 조선 역사의 중심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만큼, 조선의 역사와 이방원의 역할에 대하여 다시 한번 생각을 해보게된다. 저자는 이것을 새로운 부검결과처럼 역사에 새로운 자양분이 되기를 바라며, 조선왕조실록을 새로운 시각으로 볼 수 있는 단초를 제공한다.

역시, 역사는 돌고 돈다고 해야 할까, 지금 벌어지고 있는 각종 혼란, 적폐청산 등의 작업에서 숨기려는 자와 그것을 케내려하는 자 그리고 음습한 곳에서 음해를 하려는 자 등, 그 어느때 보다도 다이내믹한 역사의 한 순간으로 기억이 될 만하다.  역사에서 두번 다시 있을 수 없을 것 같은, 역대 대통령 두 명이 교도소에 들어가 있는데, 이것은 시민의 힘이다.  나중에 이 역사는 어떻게 기록이 되고, 또 후세들이 해석을 해낼것인가 궁금하다.  

결국, 역사는 승자의 기록이라는 엄연한 현실은 지금도 유효한 것 같다.  그리고, 이 시간 우리가 갈망하는 시대정신이 이어지려면 그 시대정신에 맞는 사람이 계속 정치를 해야지 안그러면 다시 원상복귀될 수 도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그렇다.  이 책은 독자가 보기에 시의적절한 책이다.  과거 조선 역사의 인물들과 실록의 행간을 들여다 보는 일은 우리의 현재에도 아주 유효하다는 생각이 든다.  멀리 볼것도 없이 우리의 근대사에서 우리가 잘 못 알고 있는 것이 산적해 있고 이것을 바로 세우는 것은 미래를 위한 일이기도 하다. 나는 아직도 함흥차사가 실제로 있었다고 생각하는 사람 중의 한 사람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