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균의 종말 - 평균이라는 허상은 어떻게 교육을 속여왔나
토드 로즈 지음, 정미나 옮김, 이우일 감수 / 21세기북스 / 201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우리가 무엇을 만들어 판매를 하기 위해서는 그것을 사용할 사람들을 고려하여 만들어야 그 물건이 잘 팔린다.  소위 요즈음 얘기하는 사용자 경험의 핵심이다.  그런데,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역설적이지만 사용자경험에 반하는 것들로 꼭차있다.  특히 '교육'의 문제에 있어서는 그 정도가 매우 심각하다고 한다.  이 책 '평균의 종말'(토드 로즈 지음/정미나 옮김/이우일감수)은 '평균이라는 허상은 어떻게 교육을 속여왔나'를 부제목으로 하고 있는 만큼, 평균에 지배된 교육에 대한 문제점과 그 대안을 제시하는 책이다.  바야흐로 평균은 우리를 판단하는 기준이고, 더 나아가 평균적인 것에 만족하지 않고, 인간을 등급화하여 판단을 하고 있다고 한다.  지금 이 순간에도 우리는 정해진 학교시스템에 따라서 공부를 하여 고등학교, 대학교 그리고 대학원 등을 졸업하고 거기서 부여하여 등급을 가지고 직장을 구하고 있으며, 지금 이 시간에도 취직시험에 응시하기 위하여 열심히 공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런 학교교육 시스템을 거치지 않고는 아무것도 할 수 없는, 반드시 통과해야 그 다음을 기약할 수 있다.  심지어는 이런 평균적인 시스템이 세상을 장악하고 있을 뿐 만 아니라, 개별적 인간의 개개인성을 발휘할 기회조차 쥐않고 있으면 방해를 하고 있다는 생각마져 들게 한다.


평균 또는 평균적인 인간을 이해하기 위해서 저자는 어떻게 해서 이런 평균이라는 편리한 개념이 생기게 되었고, 그것이 우리의 교육은 물론이고 이데올로기까지 넘어서서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지고, 심지어는 자본주의와 동일한 개념으로 받아들여지게 되었는지를 추적하며 문제점을 지적하고 있으며, 이제 그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대안을 제시하고 있다.  저자는 과학자, 학교, 기업들이 '평균적 인간'이라는 개념을 수용하게 된 배경에는 생소하지만 '아돌프 케틀레'라는 사람이 있다고 한다.  천문학자들 마다 다르게 나오는 천제의 속도를 '평균법(평균 측정값)'이라는 '독창적'인 해법을 채택한 케틀레는 이 천문학의 평균법을 사람에게 응용해보는 결단을 내렸고 이것이 사회의 개개인관에 일대 변화를 일으키게 되었다고 한다.  바야흐로, 이 '평균'이 '정상'인 시대가 열렸으며, 한 발 더 나아가 프렌시스 골턴은 저능층, 평범층 그리고 우월층에 이르는 14단계를 만들어 냄으로서 평균을 정상의 개념에서 평범함의 개념으로 탈바꿈시켰다고 한다. 그 다음 중요한 인물은 테일러이며, 그는 평균방법이 오류를 최소화해준다는 비젼을 가지고 있었으며 그 비젼은 다름 아닌 '표준화'였다.  왠만한 독자들이라면 산업화 사회를 언급할때 반드시 등장하는 인물이다.  그는 '과거에는 인간이 우선이었다면 미래에는 시스템이 최우선이 돼야 한다.'(p72)고 선언을 하기에 이른다.  현대기업들은 아직도 테일러가 제안한 표준화가 거의 변화없이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테일러주의자들이 당연히 생겼고, 산업체의 요구를 완벽히 수행하여 필요한 근로자를 만들어내는 교육시스템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여기서 중요한 인물이 숀다이크이다.  이 사람이 사실상, 우리가 현재 받고 있는 교육시스템이나 평가기준을 수립한 사람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닌 것 같다.  그가 만들어낸 시스템은 우리들 각자를 유형이나 등급을 부여하고, 그에 따라 기회를 부여하는 그런 시스템이고, 지금도 유효하다고 본다.

이런 평균에 따르는 유형 및 등급화에 따르는 문제점은 이미 우리가 익히 알고 있고, 우리는 하루 하루를 그런 개념에 의해 통제되고 있는지를 의식하지 못할 정도로 그 속에 파묻혀 살고 있으나, 우리는 인위적인 기준에 따르기 보다는 자기고유의 본성에 따라 배우고 발전할 수 있고, 또, 그 속에서 기회를 추구할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  더우기, 지금은 4차산업혁명의 시기라고 한다.  소품종대량생산의 시기가 지나가고 다품종 소량생산의 시대가 왔다고 한다.  그만큼, 우리의 교육이나 사회적인 시스템은 개개인의 본성, 특징에 따라 교육되고 기회가 부여될 수 있기를 바란다.  저자는 이것을 성취할 수 있는 것을 3가지를 제시하고 있는데, 득쭉날쭉의 원칙, 맥락의 원칙, 그리고 경로의 원칙을 제시하고 있다.  이것은 개개인은 평균적으로 정의하기 어려운 여러가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것은 들쭉날쭉하다는 점 그리고 사람을 어떤 본질적인 성향으로 항상 특정지울 수 없듯이 맥락적으로 파악을 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어떤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정해진 표준적인 경로가 있는 것은 아니고 개개인 마다 다르다는 점을 지적하여 훌륭한 예를 제공하고 있어서 이해하기 쉬웠다.  저자는 교육에 대해서도 해법을 제시하고 있는데, 학위가 아닌 자격증 수여, 성적대신 실력의 평가, 학생들에게 교육 진호의 결정권 허용하기(p245)를 제안하고 그것이 무엇인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을 하고 있다.  이미 우리는 이 평균이라는 것에 깊숙히 들어와 있고 또 그것을 벗어날 경우에는 큰 혼란이 일어날 것이라는 걱정을 하고 있지만, 저자가 제시한 문제점 및 방법론을 이해하고 실천하려는 노력이 그 어느때 보다도 중요한 시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