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문장부호들이 없는 문체가 낯설었지만, 그리 불편함을 느끼지 못했다. 주제 사라마구의 이 책은 시험에 나온다고 달달 외우기도 하는 문장부호란 것들이 있어도 그만 없어도 그만인 장신구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을 여실히 보여준다. 내용면에서는 사람의 본성과 인간사회에 대한 냉철한 분석과 묘사로 감탄을 자아내고 있어, 거장이란 말이 그에게 참 잘 어울린다는 것을 실감하고야 만다.

운전 중 갑자기 눈이 보이지 않아 당황하는 남자를 둘러싼 수런거림.
다행히 도움을 자청하는 한 남자를 의지해 집까지 무사히 올 수 있었던 눈먼 남자는 집에까지 들어가 말벗이 되어주겠다는 과잉친절을 의심해 그냥 돌려보낸다. 잠시 의심이 들었다. 그는 선의였을까, 나쁜 목적이 있었던 걸까? 눈먼이를 도와줬던 남자는 이런 절반의 의심을 비웃듯 눈먼 남자의 차를 훔쳐 달아난다. 이것은 인간의 아름답지 못한 본성을 맛보기로 조금 보여준 것에 불과하다. 독자들은 이제 수용소에서 펼쳐지는 추악한 본성을 마주해야 한다. 다행인 것은 다양한 군상들의 집합체가 모인 것이 세상이기에 때때로 약해지더라도 근본만은 정의롭고 선한 사람들의 존재가 힘을 준다는 것이다.

눈먼 사람들은 정부에 의해 강제로 수용소에 감금되어 군인들이 전해주는 식사만을 제공받으며 외부와 단절된 삶을 살게 된다. 눈이 머는 병은 급속도로 퍼져나가는 전염력이 있어서 군인들조차 그들 곁에 오는 것을 두려워하며, 심지어 죽기를 바라기도 한다. 절대다수를 위한 소수의 희생 정도는 눈감아버리는 세상, 그게 어디 수용소 안만의 풍경일까?
이제 수용되는 인원이 늘어나기 시작하면서 식량을 빼돌리고 훔치는 사람들이 생겨난다. 눈먼 깡패집단이 무기와 폭력을 휘두르며 식량을 점거하고 금품과 여자를 요구할 때는 그 몰염치함과 폭력성이 절정에 치다른다. 눈먼 사람들의 사회에서조차 힘을 무기로 못가진 자의 몫을 약탈하고 권세를 부리는 사람들이 있다는 것. 주제 사라마구는 이렇게 눈먼 이들의 세상에서 눈뜬 이들의 세상을 그려낸다. 

오로지 혼자만이 세상을 볼 수 있었던 의사부인은 모든 눈먼 자들의 치다꺼리를 해줄 수 없었기에 앞을 볼 수 있다는 사실을 사람들에게 밝히지 않았다. 그러면서도 할 수 있는 최대한의 방식으로 사람들을 도왔고, 깡패들의 불의에 항거했다. 앞을 볼 수 있다는 것은 보이지 않는 것보다는 편리했지만, 수용소의 온갖 역겨운 행위와 볼썽사나운 것들을 여과할 장치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했다. 그 누구보다 외로운 책임감에 시달렸을 그녀의 무게감이 책 속에서 전해졌다.
관심이 갔던 또 한 명의 인물은 '검은 색안경을 썼던 여자'이다. 그녀는 눈뜬 세상에서 방종한 삶을 살았었고 의사와 한 번의 불륜관계를 맺기도 했으나, 엄마 없는 '사팔뜨기 소년'을 보살피던 배려심과 '검은 안대를 한 노인'의 내면을 사랑할 줄 아는 열린 마음도 지녔다. 혼탁한 세상에서 방탕함을 배웠지만, 수용소의 생활을 통해 나눔의 미학을 끌어내는 법을 배운 인물이라고 생각된다.

수용소 밖의 세상도 그다지 다를 건 없었다. 모든 사람들이 장님이 된 세상에서는 네것, 내것의 구별이 무의미하며 한끼를 뱃속에 털어넣으려는 원초적 욕망만이 가장 중요한 삶의 과제가 되어버렸다. 각자의 집으로 돌아가지 않고 의사의 집에서 공동생활을 하던 그들은 의사부인의 주도 아래 나누고 서로 돕는 삶에 익숙해진다. 정의감 있는 리더의 역할이 난세에 얼마나 중요한지 그녀의 역할을 보면 알 수 있다.

왜 갑자기 눈이 멀었는지 이유를 알 수 없었던 것처럼, 어느 시점부터 사람들의 눈이 시력을 찾기 시작한다. 그러나, 의사부인은 말한다.
"나는 우리가 처음부터 눈이 멀었고, 지금도 눈이 멀었다고 생각해요."
볼 수는 있지만 보지 않는 눈먼 사람들이라는 말, 그것이 주제 사라마구가 독자들에게 던지는 메시지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