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버트 그레이프
피터 헤지스 지음, 강수정 옮김 / 막내집게 / 2008년 10월
평점 :
품절



너무 오래 전에 봐서 줄거리는 간곳없고 조각조각의 이미지로만 남아있는 영화 '길버트 그레이프'. 기억은 희미해져버렸지만, 삶의 고통과 보람을 독특하게 표현해낸 수작이라는 좋은 느낌을 갖고 있다. 당시에 막 떠오르기 시작하던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가 지능이 모자란 동생 역을 맡아 화제를 불러일으켰었고, 여러 영화에서 묘한 매력을 보여주던 줄리엣 루이스가 베키 역할을 맡아 제법 맡은 역을 잘 소화해냈었던 것 같다.

영화로 한번 접해본 경험이 있어 익숙하고 만만한 느낌으로 집어든 책은 영화보다 직접적으로 인물의 감정을 알 수 있는 묘사의 장치 덕분에 그들의 삶을 좀더 가까이서 관조하게 한다.
아버지의 자살에서 비롯되었던 것일까? 이 가족들의 빙빙 겉돌며 뭉치지 못하는 가족애는.
집의 대들보에 목을 맨 아버지의 모습은 어린 아이들에게 평생의 충격으로 다가왔고, 어머니는 무엇엔가 허기진 듯이 음식에 탐닉하다가 스스로 몸을 가누지 못할 정도의 거대한 몸집이 되어 버렸다. 그런 어머니와 장애아인 동생 어니를 지극정성으로 보살피는 에이미 누나와 길버트는 젊은 시절의 화려함도, 꿈도 펼칠 겨를이 없다. 현실적 문제가 가득하기 때문이다. 집을 떠나 나름대로 성공한 삶을 살며 일년에 한번이나 찾아오며 경제적 원조로 할일을 다 했다고 여기는 래리 형과 재니스 누나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삶이다. 

장녀인 에이미는 자신의 애인까지 넘본 재니스를 쉽게 용서할 만큼 가족애가 강하다. 어느덧 30대의 나이가 되었음에도 이성에 대한 관심을 오로지 엘비스 프레슬리에게서 풀며, 가족의 곁을 지킨다. 주인공인 길버트는 동생 어니를 끔찍하게 위하면서도 집을 떠나 새로운 삶을 살고 싶다는, 또는 가족이 몽땅 바뀌어버렸으면 좋겠다는 소망을 안고 있다. 그러면서도 집을 떠난 자신의 자리가 과연 새로운 장소에 있을런지에 대해선 확신이 없다. 부적절한 관계를 유지했던 카버부인과의 관계를 깨끗하게 정리하는 결단력을 보여주다가도 카버부인에게 기대어 외부세계로 향하고픈 기대 또한 버리지 못하는 우유부단함의 양면처럼 말이다. 이런 점은 세상을 향한 은근한 냉소가  길버트를 따라다니는 까닭이라고 보여진다.

길버트의 집이 있는 엔도라에 패스트푸드점이 첫선을 보여 마을사람들의 관심을 끌 때 그는 그곳을 거부한다. 인간적으로 사람들을 대하는 작은 규모의 램슨식품점에서 일하면서 경쟁업체인 거대한 푸드랜드를 쓰레기 하치장이라고 증오하는 길버트에게 햄버거와 패스트푸드점이 마음에 들 리가 없다. 길버트가 지긋지긋해하면서도 집을 떠나지 못하는 것은 그의 마음에 근본적으로 인간의 정을 그리워하는 마음이 존재하기 때문이 아닐까 생각했다.

어니의 18세 생일을 보는 것이 소원이라고 했던 어머니는 생일 파티 후 편안한 죽음을 맞는다. 어머니의 죽음 앞에서 길버트는 갈등이 많았던 여동생 엘렌에게도 처음으로 마음을 여는 모습을 보인다. 어머니의 주검을 사람들의 조롱 속에 내보내기 싫었던 그들은 아버지의 흔적이 남아있는 집을 어머니의 주검과 함께 태운다. 이제 길버트의 가족은 발목을 붙잡던 가족의 굴레로부터 벗어나 새로운 관계를 성립해나갈 수 있을까? 과거의 갈등을 뒤로 하고 새로운 인생을 향해 나아가게 될까? 결과는 알 수 없지만, 과거의 암담함을 딛고 서로간에 한층 성숙한 관계를 유지하며 성장해 나갔을 것 같다. 그들의 행복한 후반기 인생의 모습도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