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사랑, 마지막 의식
이언 매큐언 지음, 박경희 엮음 / Media2.0(미디어 2.0)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서점에서 두께가 과하다 싶은 책을 보면 부담감은 나중이요, 우선은 가슴이 두근거린다. 번역도 완역판을 좋아하여 단편이 성에 차진 않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편집인 이 책을 읽은 건 '이언 매큐언'이란 이름 때문이었다. 잠깐의 예고편으로 보고 싶은 영화가 되어버린 '어톤먼트'의 원작인 '속죄'의 작가 이언 매큐언. 그의 어떤 점이 매력인지 아직은 모르지만, 많은 사람들이 그를 찾는다는 건 그만한 가치가 있기 때문일 거라는 생각으로.

책을 읽고 나니, 아..뭐라고 해야 할까? 문학이 꼭 진지하고 순수하며 청결한 분야만 다루라는 법은 없지만, 왜 하필이면 빼어난 문장력, 기막힌 상상력이 이런 내용을 위해 발휘되었을까 하는 씁쓸함이 고개를 들었다.
이언 매큐언은 이런 글을 쓸 때 그조차도 우울해질까? 사회 병리의 고발인가, 악마적 탐미주의인가? 그의 글에 난도질당하는 어린 생명들을 불쌍히 여기려는 찰나, 문득 요즘 세상을 떠들썩하게 한, 초등학생을 성폭력의 대상으로 삼은 살인사건이 '나비'의 내용과 겹쳐 떠오른다. 그렇군. 정말 불쌍한 것은 소설이 생명력을 부여한 허구 속의 인물이 아니라, 세상 밖에서 벌어지고 있는 사건의 피해자들이다. 

그의 작품이 더 충격적으로 다가오는 이유는 끔찍한 이야기들을 호들갑을 떨지 않고 담담하고도 서정적인 문체에 담아냈기 때문이다. 유려한 문장을 피크닉가는 기분으로 읽어내리다가는 먹을 것이 가득한 바스켓 속에서 날 세운 단도를 발견하는 느낌을 갖게 되기 쉽상이다.
사람 안에 내재된 악마성을 끄집어낸 수작으로 평가받는 이 책은 이미 존재하는 것, 그러나 쉬쉬하는 것들을 과감하게 내보이며 곪은 부위를 터뜨렸다는 의미가 있다. 하지만, 누구에게나 열려있는 문학작품의 선택권상 그 누구라도 이 책을 읽을 수 있음이 우려가 된다. 아주 순수해서 이런 세계를 모르고 있고 영원히 몰라도 될 사람들이거나, 아주 나빠서 책의 내용으로 엉뚱한 자극 받을 사람들은 이 책을 읽지 말았으면 좋겠다. 별 걱정을 다하는 건가?

이 책으로 본 이언 매큐언의 작품은 가치는 있으나, 가까이 하고 싶지는 않다. 장편도 이런 느낌일까? 아마 한번 정도는 이언 매큐언의 장편을 향해 모험하는 시도를 벌일지도 모르겠다. 만약 장편도 이 소설집과 같은 분위기라면, 그냥 등돌린 채 박수치며 그의 명성을 지켜보는 쪽을 택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