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라운 탐험의 역사 - 암흑의 바다를 건너 세계의 지붕 에베레스트까지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세계사 백과 2
실비 드렘 지음, 권지현 옮김, 코뮈니카지온 그림 / 깊은책속옹달샘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과학과 정보가 발달하지 못했던 시대에는 미지의 세계에 대한 호기심과 대상을 정복하고픈 욕망이 대단히 강했을 것이다. 신세계란 낱말이 주는 이미지는 새롭고 신선한 것들로 가득 차있어 현실의 불만족스러운 것들을 모두 상쇄시켜버릴 만한 힘의 매력을 풍긴다. 그것은 지금도 마찬가지이지만, 인공위성의 발달로 지구상에 인간의 발이 닿지 않은 곳이 거의 없는 요즘은 과거에 비해서 탐험으로 얻는 흥분과 짜릿함의 영역이 감소된 감이 있긴 하다.

탐험은 생각보다 오래전부터 우리 인류와 함께 해왔다. 자그마치 선사시대부터 먹잇감 사냥을 위해 인류의 조상들은 이미 세계 각지로 흩어져 갔다. 그 후로도 동양과 연결된 가까운 길을 찾기 위해, 금을 가지려는 욕망에서, 신대륙을 찾기 위해서 등 여러 이유로 극지방과 바닷속, 높은 산 위 등 갈 수 있는 곳이면 어디든 정복해 나갔다. 구 원주민들과의 무력 충돌, 아프리카인 학대는 그 과정에서 일어난 오점이자 부끄러운 과거이다. 탐험의 의도가 순수한 것이 아닌, 정복과 이익 추구였기에 탐험의 역기능이 순기능으로서의 역할을 눌러버린 것이다.

그래도 불확실한 미래 속에서 도전하는 인간의 용기는 탐험의 역사 속에서 여전히 사람들에게 놀라움을 주며 그 가치를 빛낸다. 아프리카를 탐험하며 기독교를 전파하던 리빙스턴은 노예상인들의 인종차별에 분노했고, 힘들고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탐험에 온 생애를 바쳤다. 아름다운 탐험가의 표본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남극점을 먼저 정복한 아문센의 기쁨과는 달리, 한발 늦은 스콧 일행은 폭풍우에 갇혀 사망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어느 책에선가 읽은 바에 의하면 서로 손을 잡고 노래를 부르면서 최후를 맞이했다고 한다. 비록 결과는 나빴지만, 그가 보여준 도전정신과 용기는 남극 정복보다 더한 가치가 있을 것이다.

인류가 한발짝씩 전진하며 보여준 도전정신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인간의 발이 닿지 않은 미지의 땅은 사라져가지만 탐험가들이 보여준 신념과 의지는 계속적으로 사람들의 귀감으로 자리잡아 또다른 도전에의 용기를 불러일으킬 것이기 때문이다. 탐험에 관한 역사를 집대성한 책이라, 학교에서 배우지 않은 사람들과 탐험 과정도 등장한다. 아이들은 이 방대한 탐험의 역사를 살펴보며, 자신만의 원대한 꿈의 탑도 조금씩 쌓게 되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