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이 궁금할 때 모차르트에게 물어봐 궁금할 때 물어봐
박은정 지음, 위싱스타 그림 / 미래엔아이세움 / 2007년 10월
평점 :
절판


음악 듣는 걸 즐기면서도, 학교 음악 시간의 이론은 싫어했던 기억이 난다. 요즘 아이들이야 피아노를 배우면서 기본적인 악보 읽기와 음표, 쉼표 보는 법을 이미 터득하고 있겠지만, 내가 어렸을 때만 해도 음악 이론은 갑자기 생소한 세계에 빠진 것처럼 낯설어서 바장조, 사장조, 단조 등 은근히 까다로운 이론을 공부하느라 애를 먹었었다. 그때, 이런 책 한권 있었다면 큰 도움이 되었을 텐데.

이 책은 단순히 음악 감상이나 듣는 법에만 치우치지 않고 음악 이론을 포함한 상식 등 여러 영역을 포괄하고 있다. 앙코르라는 말의 유래나 오페라와 뮤지컬이 어떻게 다른지와 같은 내용은 가벼운 상식을 늘릴 수 있는 코너였고, 소프라노와 테너에도 다양한 목소리가 있다는 것은 미처 몰랐던 사실이었다. 예를 들면, 드라마티코 소프라노는 아주 낮은 소리부터 높은 소리까지 낼 수 있으며 '아이다'나 '이졸데' 역에 어울리는 목소리이고, 리리코 소프라노는 달콤하고 감정이 풍부한 목소리로 '마술 피리'중에서 파미나의 목소리에 해당한다. 아~ 이런 걸 알고 들으면 음악 듣기가 더욱 재미있어지겠다.

그리고, 색소폰이 목관악기라는 것, 오케스트라에서 악기의 자리, 표절과 리메이크의 다른 점, 왜 지휘자가 꼭 있어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도 참 좋았다. 지휘자는 몇십 분이나 되는 교향곡을 악기별로 모두 외우고 있으며, 어떤 소리가 날 것인지를 미리 상상하며 계획을 세운다고 한다. 같은 악단도 지휘자에 따라 다른 소리를 낸다는 사실은 지휘자의 역량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새삼 느끼게 한다. 지난 크리스마스 때, 정명훈 지휘자와 서울시립교향악단의 연주로 베토벤의 합창교향곡을 들을 기회가 있었다. 그때 뒷모습에서도 느껴지던 카리스마와 열정에 흥분이 되었던 것이 기억나며, 올해에도 잊지 말고 멋진 음악 들으러 미리 계획을 잡아놔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장조와 단조, 올림표, 내림표 등 이론에 대한 내용이 나와 공부도 되며, 왜 클래식 음악이 긴지도 역사와 당시 상황 속에서 알기 쉽게 설명해 준다. '즉흥곡은 정말 즉흥적으로 만드나요?'처럼 재미있는 질문에 대한 답도 있었으며, '애드리브'란 말이 원래 음악에서 사용되던 말이었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바흐, 헨델, 하이든, 모차르트, 베토벤, 쇼팽과 같은 음악가에 대한 얘기도 빠지지 않는다. 차이코프스키는 발레음악 '백조의 호수'가 좋은 평을 듣지 못해 10년 넘게 발레음악을 작곡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수정을 거쳐 후세에게 인정을 받게 된 것이라니, '백조의 호수'에 이런 아픈 사연이 있었던 것을 모르고 있었다. 

그 외에도 나흘동안 연주한다는 바그너의 오페라 이야기, 세계적으로 잘 알려진 한국의 작곡가이지만 간첩으로 몰려 감옥살이 후 독일에 귀화한 가슴아픈 이야기의 주인공 윤이상에 대한 이야기를 읽을 수 있으며, 민요나 판소리, 창극, 취타와 대취타, 사물놀이와 같은 우리 음악에 대한 설명도 빼놓지 않고 있다.

책 한권으로 음악과 더욱 친해질 수 있어, 초등 고학년에게 강추하고 싶은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