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독서뿐 - 허균에서 홍길주까지 옛사람 9인의 핵심 독서 전략
정민 지음 / 김영사 / 201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물질과 실용만을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 공부라는 것을 언제나 내부에서의 자신의 위치가 아닌 외부에서의 자신의 위치를 찾아가고 추구하기 위해 이루어진다. 돈이라는 물질의 흐름에 따라 우리의 공부도 거기에 맞추어 흘려간다. 최소한의 라는 존재를 유지하기 위해 분명히 필요한 것이지만 지금의 우리의 공부까지 그 흐름에 따라 춤춘다는 사실은 어쩐지 씁쓸하기도 하다.

 

조선시대 학자들은 어떻게 공부를 했을까? ‘오직 독서뿐에는 9명의 학자들이 등장한다. 그들은 여러 면에서 공통점을 가진다.

 

먼저, 책을 볼 때는 언제나 바른 자세를 중시했다. 바른 자세는 바른 정신으로 이어지고 사소한 잡념을 이겨낼 수 있다고 했다.

 

둘째, 책에 빠져들었다. 겉을 맴도는 공부가 아닌 책과 일치하는 책읽기를 선호했다. 다시 말해 머리뿐 만아니라 가슴까지 책에 빠져들었다.

 

셋째, 반복학습이다. 한번 읽고 꽂아두는 공부가 아니라 손때를 붙어가면서 반복해 음식이 소화되어 피가 되듯 완전히 내 것이 되도록 했다.

 

마지막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공부는 입신양명을 위해 공부하지 않았다. ‘라는 존재를 알고 채우고 변화시키는 과정이 공부이다.

공부는 ‘’덮어놓고 제 주장을 펴기위해 하는 것이 아니다. 먼저 사람이 되어야 한다. 사람이 되자면서 겸손은 안 배우고 교만만 배운다면 애초에 공부의 길과는 거리가 멀다...p.150”

 

급선무는 사람으로서 해야 할 도리다. 사물을 대하는 태도, 인간의 윤리, 이런 것들을 바로 닦기 위해 우리는 공부를 하고 책을 읽는다. 이런 것을 넘어서서 무시해도 좋을 공부는 세상에 없다. 이를 착각해서 나는 대단한 공부를 하고 있으니, 이런 것은 소홀히 해도 괜찮다고 한다면, 그는 앞뒤가 뒤바뀐 사람이다. p.166”

 

나는 왜 공부하는가? 우리는 왜 공부하는가? 그리고 이 나라의 위정자들은 왜 공부를 하는가? 지금 우리에게는 4차 혁명에 대한 대비보다 이 점에 대한 반성어린 숙고가 더욱 절실한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