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톤의 네 대화 편 - 에우티프론, 소크라테스의 변론, 크리톤, 파이돈 헬라스 고전 출판 기획 시리즈 3
플라톤 지음, 박종현 엮어 옮김 / 서광사 / 200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경을 읽을 수 있다는 것은 대단히 가치 있는 일이다. 성경은 약 1,500년 간의 기록이 한 곳에 모아져 있다. 아브라함은 기원전 약 2,000년 전의 인물이며, 모세는 기원전 1,500년 전, 다윗은 기원전 1,000년 전의 인물이다. 그렇다면, 성경을 읽는데 훈련된 사람들이라면 동서양의 고전을 읽는 것은 문제가 되지 않는다. 

 

고전을 읽어라! 책 수 십, 수 백 권을 읽는 것보다 고전을 읽는 것이 유익하다. 왜냐하면, 모든 책과 인류의 역사는 고전을 바탕으로 하기 때문이다. 서양 철학의 '빅3'가 있다. 소크라테스-플라톤-아리스토텔레스이다.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이라는 그림은 상식적으로 꼭 알아야 한다. 플라톤은 손가락을 하늘로, 아리스토텔레스는 아래로 향하는데, 이것은 이 둘의 사상을 대표한다. 플라톤은 이데아론을 말하며 영혼불멸설을 말하고, 아리스타텔레스는 이 세상과 자연과 그리고 개인을 존중하는 사상을 펼쳐나간다.)

성경에 4복음서가 있듯이, 플라톤의 4복음서가 있다. 플라톤의 4복음서는 <크리톤> <파이돈> <소크라테스의 변명> 그리고 <향연>이다. 성경의 4복음서를 읽듯이, 플라톤의 4복음서를 읽어보자. 성경의 4복음서가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증언이듯이, 플라톤의 4복음서는 소크라테스(주전 469년-주전399년, 70세)에 대한 증언이며 기록이다. 예수님과 소크라테스는 두 분아 저술을 남기지 않았다.

 

<크리톤>은 유년 시절의 친구 크리톤이 감옥에 있는 소크라테스를 찾아가 탈출을 돕겠다며 권유하는 내용이 나온다. 소크라테스는 "무조건 사는 것보다 가치있게 사는 삶이 중요하다"고 말하며, 내세의 소망을 가지고 죽음을 맞이하겠다고 말한다.

<파이돈>은 영혼과 육체, 죽음의 문제 등을 대화하듯이 말하고 있다. 죽어서 참된 안식에 들어가고, 완성된 존재로 변형되는데 대한 소망을 얼마나 실감나게 표현하는지 인상적이다. 4복음서중에서 가장 길다.

<소크라테스의 변명>은 죄목이 무엇이며, 당시 오만한 사회에 대한 일침을 가하는 소크라테스의 우상타파적이며 정치개혁적인 성향들을 읽을 수가 있다. 소크라테스에게서 '그 시대의 예수님의 모습'을 볼 수 있다'는 사람도 있고, 단지 무책임한 지식인으로 돈이나 벌어먹는 소피스트와는 달리, 사회의 부조리를 일깨워주었던 참되고 책임있고 용기있는 지식인, 지도자의 모습을 만날 수 있다고도 한다. * 소크라테스는 독단과 고집으로 자기 지식을 뽐낸 것이 아니라, 질문과 대화로 상대방의 이야기를 경청하고, 서로 참된 깨달음의 길로 인도했던 참된 교육자의 모습이 담겨져 있다. 참된 지혜는 인간에게 있는 것이 아니라, 신 앞에서 겸허하며 묵상과 기도의 삶을 살아야 한다는 암시를 주기도 한다. *놀라운 것은 "참된 덕은 돈으로 살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덕을 함양함으로 돈이 나온다라고 말한다." 오늘날 우리 나라 대학생들은 철학과 인문학을 공부하지 않고 취업준비만 하지만, 사회의 지도자나 전문 경영자들은 인문학과 철학을 공부한다. 왜? 돈을 벌기 위해서는 인간과 인류의 방향을 알아야 한다. 그래서, 경영자들이 인문학과 철학을 공부한다. *고전을 읽는 것은 돈을 버는 비결이라고 말하는 것은 소크라테스에게서 나왔음을 발견한다.

 

4복음서를 읽듯이, 플라톤 4복음서인 <대화편>을 읽고서 소크라테스의 지혜와 용기를 만나보자.

소크라테스의 사회는 전쟁으로 인하여 좀 더 본질적인 인생의 삶과 죽음의 물음을 던졌고, 참된 지혜를 우리에게 던져준다.

소크라테스는 말한다. "철학은 죽음을 준비하는 연습이다."

인생의 가장 큰 문제는 '죽음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당신은 어떻게 죽을 것인가? 죽음을 준비할 것인가?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오늘 우리가 어떻게 살아갈지에 대한 지혜를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트겐슈타인 평전 - 천재의 의무 Meaning of Life 시리즈 8
레이 몽크 지음, 남기창 옮김 / 필로소픽 / 2012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그는 부자다. 하지만 그 부를 다 포기했다. 오늘날로 말하면, 빌 게이츠의 아들이다. 그는 천재다. 철학자 버틀란트 러셀의 제자인데, 러셀은 그의 천재성을 부러워했다. 심지어 비트겐슈타인의 사상을 다 이해하지도 못했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그는 톨스토이적인 성품을 가졌고, 삶의 심오한 질문을 던졌다.

 

그가 여동생을 위해서 건축한 건물이 인간의 실존을 표현하는 구조물로 되어 있다고 한다. 그는 엔지니어, 수학자, 건축가, 철학자 이다. 그는 교사, 케임브리지 교수 등을 역임했다. 생전에 겨우 80쪽의 Tractatus라는 책을 남겼다.

 

철학의 문제는 언어의 용법에 대한 혼동이라고 한다.

인생은 언어에 의해서 빚어지고, 그 안에서 성장하며, 언어 안에서 살아간다.

나는 비트겐슈타인에게서 <말씀론>을 정리하려는 목표를 가지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연스럽게 영어 공부가 되는 초등 영어 명언 1 - 동기 부여와 동기 유발을 위한 명언 자연스럽게 영어 공부가 되는 초등 영어 명언 1
박철범 지음 / 나무그늘 / 2014년 1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가슴을 흥분하게 한다. 설레게 한다.영어공부를 위해서 40대 중반인 내가 보면서, 깊은 공감을 한다. <실수의 가치> <분명한 목표의식과 실천> <성공의 비결은 시작하는 것이다> <실수를 두려워말라> <꾸물거리는 것은 시간의 도둑질이다> <변명하는 사람은 다른 일도 제대로 못하는 게 분명하다> <믿고 행동하라. 마치 실패가 불가능한 것처럼> 등 너무도 공감이 되는 글이 많다. 영어공부가 되는 것은 물론이다. 얼른 2권, 3권도 구입하고 싶다.

 

나는 이 책을 내 말로 우리말로 번역한다. 그리고 나서 그 번역한 말을 보고 영어로 작문한다. 이것을 <통번역> 방법이라고 나는 부른다. 영어 명언을 마음에 새기고, 사람들에게 전해주려고 한다. "인생은 나 자신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나 장신을 창조해가는 것이다." / 저자의 헌신적인 노력과 창의적인 생각에 박수를 보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나님 나라의 복음
조오지 엘든 래드 지음, 박미가 옮김 / 서로사랑 / 2001년 8월
평점 :
품절


이 책을 읽으면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신 이유를 알 수 있다. 예수님이 이 땅에 오신 이유는 하나님 나라 운동이다. 어떻게 예수님이 하나님 나라 운동을 시작하셨고, 이루시고 계시며, 완성하시는가? 어떻게 우리는 하나님 나라의 백성이 되고, 이 운동에 동참하게 되는가?

 

하나님 나라라는 관점에서 성경을 보면, 성경속에서 하나님의 통치 행위를 볼 수 있다. 신앙생활이 단지 개인구원 차원에 머무르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을 창조주로, 역사의 주로, 세계를 경영하시는 통치자로 온전히 고백하며 따라갈 수 있다.

 

이 책을 읽으면 예수님의 산상수훈의 의미를 더 깊게 깨닫게 된다.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쓰여졌고, 그리고 성경의 근거들을 간결하게 제시하면서 쓰여졌다.

하나님의 나라를 공부하면, 신앙생활이 달라질 것이다. 성경을 보는 눈이 달라질 것이다. 독자의 신앙인의 정체성이 달라지고, 참된 소망과 믿음과 사랑의 삶을 살아가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이 책을 추천정도가 아니라 필독서로 제시하고 싶다.

 

 

- 하나님의 나라란 무엇인가?

- 하나님의 나라는 현재에 있는가, 미래에 생기는 것인가?

- 예수님의 비유는 하나님의 나라의 비밀에 대하여 무엇을 말해주나? (겨자씨 비유, 씨뿌리는 자의 비유 등)

- 하나님 나라의 삶을 어떻게 사는가? 거듭남, 영생에 대하여. *영생이 무엇인가에 대한 아주 쉬운 설명

- <하나님의 나라의 의>는 무엇이며, 어떻게 소유할 수 있는가? * 산상수훈에 대한 통찰력 있는 풀이

- 하나님 나라에 들어가기 위한 조건은 무엇인가? 여기서는 단순한 신앙고백이 아닌 개인의 결단을 강조하고 있다.

- 하나님 나라는 언제 오는가?

 

 

이 책을 읽으면, 성경의 큰 그림을 볼 수 있다. 우리 인생의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다. 하나님의 원대한 계획을 볼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이젠, 책 쓰기다> 조영석 지음. 이 책이 눈에 띄었다. 정말로 흥미로웠다. 그저 그렇고 그런 책이려니 생각했는데, 완성도도 높았고, 내용이 매우 알찼다. 저자는 책을 출판한 사람과 출판하지 못한 사람, 두 부류로 사람을 나누었다. 개인적으로도 출판 전과 후의 인생이 다르다는 것을 강조했다. 책쓰기와 글쓰기는 다르다. 


책을 출판하는 것만큼 자신의 인생에 대한 좋은 투자는 없다. 책을 쓰는 것은 실력을 키우는 일이고, 전문성을 키우는 일이다. 책쓰기는 자신의 메시지를 찾아내고 표현하고, 더욱 권위있는 선생이 되는 길이라는 것을 알았다. 


책을 쓰는데는 '책쓰기의 호흡', 즉 리듬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에 공감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집필에서 출판에 이르기까지의 내용을 망라하는데, 그 세세함에 놀랐다. 글의 내용을 '자기 것으로' 만들어서 써라. Appropriation이 중요하다. 거기에는 문장의 기교보다도 삶의 진정성이 중요하다. 모두가 공감되는 말이었다. 아주 쉽게 썼고, 소제목 하나 하나 버릴 것이 없다는 인상을 받았다. 


"상상력을 가져라!" 

1. 자신의 책을 출판하여 이름이 인터넷에 검색되고 사람들의 댓글이 달리는 것을 상상해보라. 2. 출판된 책이 진열된 서점의 그 자리에서 독자들이 책에 관심을 보이는 것을 상상해보라. 그 동안 지나온 책쓰기 시간을 수고가 말끔히 보상되는 경험을 하리라. 3. 어떤 출판사에서 연락이 와서, "다음 책은 우리 출판사에서 출판하시죠." 하는 제안이 오는 것을 상상해보라. 4. 이 책을 마치 이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한 사람에게 쓰듯이 책을 써라! (당장 한 사람이 떠올랐다.) 구체적인 사람에게 쓰듯이 글을 쓰라는 것이다. 5. 글쓰기는 등산과 같다. 오를 때에 힘들지만, 오르고 내려올 때 그 기분은 참으로 상쾌하다. / 내가 논문을 쓸 때 만났던 논문쓰기에 대한 그 영어책 다음으로 꼭 간직하고 싶은 좋은 책이다. 

책을 2 - 5권 정도 쓰면 자신만의 집필 공간이나 여건에 대한 욕심이 생긴다. 그리고 집필에서 출판의 과정이 머리속에 그려진다. / 글쓰기는 하루 2-3시간씩 3달을 잡아서 초안을 써라. 매일 A4 2장을 쓰는 훈련을 하라. 논문쓰는 사람들은 '하루 일당을 하라'고 표현한다. 매일 거르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목차를 만들어라. 머리말이 중요하다. 글의 내용과 주요 독자와 책의 키워드가 들어가게 하라. 카페와 블로그를 운영하라. 신문이나 정보를 모아서 폰사진으로 찍어서 이메일에 저장, 분류하라. 출판사와 저자의 역할 구분, 기획출판과 자비출판, 판매 등에 이르기까지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책쓰기를 위해서는 글쓰기를 해야 한다. 글쓰기에는 '관찰'이 중요하다. 본.깨.적. 본 것, 깨달은 것, 적용할 것을 기록하는 매일의 글쓰기가 중요하다. 1. 책 쓰기는 최고의 공부법이다. 말로 할 내용을 전부 글로 써서 영상화하고 숙지해야 한다. 그래야 파토스가 있다. 아하, 글쓰기를 통해서 관찰력이 있고 독창성이 있다. 말하는 내용이 내 것으로 소화된다. 그래서 청중이 경청을 하게 된다. 이 모두는 글쓰기를 통해서 훈련되었기 때문이다.


"말은 잘 하는데, 글로 표현할 수 없다"면 그 사람은 말할 자격을 갖추지 못한 것이다. 말의 권세가 없다. 책 쓰기는 새로운 아이디어와 콘텐츠를 만들어낸다. 글을 쓰면서 새로운 영감이 생긴다. 시원한 느낌이 든다. 책 쓰기는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낸다. 유명한 사람은 왜 계속 책을 쓰는 걸까? 자기 계발 때문이다. 유명한 사람도 책을 쓰는데 무명한 사람은 더욱 분발해서 책을 써야하지 않을까. 


만일 어느 분야에 전문가가 되려면 책을 써야 한다. 만일 확신있고 권세있게 메시지를 전하려면 자신의 것으로 소화하여 세상에 외쳐야 한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0개의 상품이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