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락원칙을 넘어서 - 프로이트전집 14 프로이트 전집 14
프로이트 지음, 박찬부 옮김 / 열린책들 / 1997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종교에 대한 프로이트의 사상을 대표하는 저서가 『토템과 타부』『환상의 미래』(1927)이라고 한다면, 프로이트 후기사상의 핵심이 집약되어 있는 책이 바로 『쾌락원칙을 넘어서』(1920)『자아와 이드』(1923)이다. 프로이트의 초기사상의 맥은 간헐적으로 여기 저기에 흩어져 있는 반면, 후기사상의 핵심은 이 두 책에 집중적으로 나타나 있어서, 후기사상을 공부하는 것이 짧은 시간에 많은 것을 얻을 수 있다. 또한 프로이트의 사상의 변화도 읽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아개념의 변화, 이전에는 에로스 본능이 핵심이었으나 후기로 들어서서는 에로스 본능이 죽음의 본능에 포함된다는 새로운 주장을 한다.)

프로이트에 대한 상반된 견해가 있다. 그를 최후의 계몽주의자(인간의 합리성을 높이 평가하여 인간를 낙관적으로 본다는 입장)과 최초의 포스트모더니스트(인류 문명에 대한 비관적인 견해)로 나뉘어져 있다. 라깡과 대상관계이론가들은 후자에, 그리고 자아심리학자들은 전자의 입장에 서있다.

『쾌락원칙을 넘어서』에서 프로이트는 진정한 쾌락은 ‘죽음의 본능’(싸나토스)에 있다고 새롭게 주장하고 있다. 죽음의 본능은 곧 열반원칙이다. 죽음은 불쾌이전의 상태, 즉 에덴의 상태로의 복귀를 의미한다. 에스로 본능는 생의 본능, 나르시시즘, 자아보존본능, 타인을 정복하는 새디즘과 동일개념이고, 싸나토스의 본능은 죽음의 본능, 곧 마조히즘이다. 여기서 마조히즘은 타인에게로 향했던 공격성이 자신에게로 향하는 퇴행(退行)을 의미한다. 결국 인간은 생으로 향하는 존재가 아니라, 죽음으로 향하는 존재이다.

초기에 프로이트는 리비도가 이고보다 큰 개념으로 보았으나, 후에는 이드가 가장 큰 개념이고, 그 다음이 이고, 그 다음으로 리비도가 이고에 속하는 개념으로 바뀐다. 또한 초기에는 성적 본능과 자아본능을 대극관계로 이해했으나, 후기에 가서는 성적본능과 자아본능은 동일한 것이며, 성적본능과 대극이 되는 것은 죽음의 본능이라고 보았다. 그러나 최종적으로 죽음의 본능안에 생의 본능이 포함되어 있다고 보았다. 결국 최고의 쾌락은 자아가 죽어서 항상성을 유지하는 상태에 있다는 것이 그의 말년의 생각이다.

만하임의 지식사회학을 언급하지 않더라도 사상이란 그 사상가의 콘텍스트를 벗어날 수 없다. 말년에 프로이트는 인간의 본능의 핵심은 생의 본능이 아니라, 죽음의 본능이라고 결론내림으로써 그를 따르던 많은 제자들을 혼란에 빠트리기도 했다. 그러나 이 사상은 신비주의 이론이나, 종교적 감정에 대한 더 풍성한 의미를 부여해준다는 면에서 매우 인상적이었고, 관심이 갔다. 요즘 죽음학(thanatology)라는 게 있는가본데, 이런 신비주의적, 종교적 접근이라면 죽음학에 대해서 관심을 갖는 것도 흥미로우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만화로 보는 주역 - 상
이기동.최영진 글, 변영우 그림 / 동아출판사(두산) / 1994년 1월
평점 :
절판


책을 보다보니 주역의 원리에 대한 언급이 많아서 주역 공부의 필요성을 느꼈다. 그러나 워낙 생소해서 주역을 어떻게 공부해야할지 모르던 차에 이 책을 소개받았다. 이 책은 주역의 원리를 만화로 설명하지만 중요한 내용들은 다 언급하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역시 주역의 사유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필자는 주역이 무엇을 말하고자하는지, 주역의 문제의식이 무엇인지 오리무중을 헤메고 있다 보니, 주역에 흥미를 느끼는데는 많은 노력과 시간이 들어야한다는 생각을 한다. 나는 왜 주역을 공부하고자 하는가? 그것은 서구 철학이 종언을 고하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하는 중 동양적 사유에로 관심을 돌리기 때문이다. 나도 다시 동양적인 사유를 발굴해 내는 것이 나의 특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하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델 불한중사전
한국불어불문학회 엮음 / 삼화출판사 / 200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중에 나온 불어사전은 다양하지 않다. 그 중에 이 사전은 그 어휘수와 빼어난 예문에 있어서 초보자나 중급자에게 권하고 싶은 사전이다. 불어를 처음 공부하는 나에게 이 사전은 매우 유용한 길잡이가 되어 주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마디 말로 천냥 빚을 갚는다 - 카네기 인생지침서 3
데일 카네기 지음 / 고려원(고려원미디어) / 1999년 3월
평점 :
절판


나는 남앞에 이야기를 해야 할 기회가 생기거나, 사람들을 만나 좋은 대화의 시간을 갖고자 할 때, 그리고 용기를 잃고 긴장하고 있을 때 이 책을 읽는다. 이 책은 '말(강연)하는 즐거움' '사람을 사귀는 즐거움'을 주고 나에게 자신감을 심어주는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화의 철학 - 진리에 이르는 길
이규호 지음 / 시공사 / 1999년 12월
평점 :
품절


현상학과 해석학을 공부하고자 하던 차에 이 책을 만났다. 저자는 원숙한 학자로서 마치 거미가 거미줄을 뽑듯이 처음부터 끝까지 방대한 학문적 자료들을 저자의 말로 소화하였을 뿐만 아니라, 포스트모던과 탈구축의 시대가 낳은 허무주의와 가치관의 위기라고 하는 '시대적 고민'을 떠안고 고민하는 흔적이 물씬 풍겼다. 이 책은 현상학과 해석학에 대해 학문적인 성과들을 제공해 줄 뿐 아니라, 포스트모던이라고 하는 현대의 분위기를 언어철학적 입장에서 쉽게 이야기해주고 있다.

철학자란? 시대의 고민을 떠안고 고민하는 사유자이다. 이 책의 저자는 단지 학술적인 결과를 나열하거나 현학적인 양하는 것이 아니라 바로 현 시대를 진단하고 그 해결책을 '실존적으로 결단할 수 있는 대화'로 제시하는 이 시대의 지성인이기에 가치있는 책이다. 현대는 철저히 상대주의요, 허무주의여서 절대적인 진리나 가치관은 성립될 수 없다. 오로지 '해방된 이성'으로 자기 지평를 개방하여 지평과 지평이 융합되면서 더 넓은 인식의 세계로 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저자의 또 다른 저서 <말의 힘>과 <앎과 삶>을 또 읽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