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교양인의 행복한 책읽기 - 독서의 즐거움
정제원 지음 / 베이직북스 / 2010년 4월
평점 :
품절
책은 세상 사람들과의 소통 수단이요, 만남을 위한 열린 공간이다... 책읽기 요령과 선택 기준...
책은 생활속에 정말 가까우면서도 때로는 정말 멀게 느껴지는 것 중 하나라 생각하는데 매일 함께 생활을 하다가도 어떠한 이유로 어느 순간에는 거들떠 보지도 않때가 많으니까요... 책의 용도는 정말 다양한데 단순히 읽기만 하는 것이 아닌 베개도 하고 때로는 냄비 받침으로 쓰이기도 하고... 책을 가까이 하게 되면서 좀더 발전된 독서를 하기 위해서 책읽기와 관련된 도서들을 자연스럽게 가까이 하게 되는데 책읽기는 끝없는 지식의 세계와 마찬가지로 정말 끝이 없는 것 같습니다.
저자의 말대로 독서법에 관한 책은 이미 많이 있는데 왜 이 책을 썼고 저 자신이 이 책을 읽었느냐면 비슷한 책을 읽어도 사람에 따라 전혀 다른 생각과 느낌으로 다가오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리고 변화까지... 저자는 왜 책을 읽어야 하는 것인가는 독서의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무엇을 어떻게 왜 읽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질문에 대한 답을 하고 있습니다. 조언을 곁들여 가면서... 갑자기 주위에서 왜 책을 읽습니까? 라고 물어보면 도대체 뭐라 대답해야 할까?... 틀에 박힌 답이라면 삶의 지혜와 지식 그리고 즐거움을 얻을 수 있으니까요... 라는 답이 떠오르지만 생각할수록 정말 대답하기 쉽지 않은 질문인 것 같습니다.
나는 누구인가?, 지식을 어떻게 확장하는가?, 작가는 누구인가?... 이 책은 3개의 큰 챕터로 구성되어 있고 책을 읽는 즐거움과 재미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자신이 읽었던 책과 함께 독서법에 관한 메시지를 전하고 있는데 잘못된 독서법을 고치고 올바른 독서를 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책을 읽으면서 독서의 즐거움을 몸소 느끼고 깨달았다면 그것만큼 행복할 수 없을 것 같습니다. 저도 가끔 이 즐거움을 만끽할때가 있기는 합니다만 진정으로 즐거움을 느끼는 것은 쉽지만은 않은 것 같네요... 이 즐거움이 생활화 될 때에 독서의 달인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저의 경험에 비추어 보아도 책을 오랫동안 읽다보면 책과 멀어지고픈 자연스러운 슬럼프가 오기 마련인데 이러한 때에 독서법에 관한 책을 읽으면 도움을 받을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편식이 아닌 다양한 장르의 도서와 가까워 질 수 있도록 해 주었던 것 같기도 하구요... 또 독서법에 관한 책을 읽고 나면 전혀 의도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읽고 싶은 도서들이 우후죽순 쭉쭉 늘어남을 알 수 있는데 이러한 도서들은 행복한 고민을 할 시간을 선물해 주는 것 같습니다. 책을 읽는 이유는 정말 다양하지만 어떤 이유든 책과의 만남이 자신에게 즐거움을 주었다면 그것으로 된것이 아닌가는 생각이 드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