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출처 : 한길로 > '화려한 휴가'를 통해 바라본 삶의 자리,,

어릴적 민중(이 단어가 이제는 왼쪽을 가리키는 단어일까? 그래서 사용하기 살짝은 두렵지만..)의 편에 서셨던 분이라 생각되던 한 목사님의 말 중에 학생들 사이에서 회자되던 부부분이 있었다. 

목사님 왈, ......'광주사태'...... 

뭐 그 앞뒤 말은 기억도 나지 않는다.  

단지 '광주사태'라는 말이 내 귀를 때렸다. 

아직도 '광주사태'라는 말을 사용하시나? 

아니, 그래도 민중을 위해 생각하시고 사시는 분이 이렇게 표현해도 될까? 

뭐 이런 생각이 들었다. 

 그러나 그 분은 현재 '새로운 오른쪽'에 서계시다.  

그리고 오랜동안 사용하시던 말이니 그냥 튀어나올 수도 있지않을까 생각한다. 

 

 나 역시 그 사건에 대해 큰 관심은 없었다. 

단지 내 주변에 광주에 사시던 몇몇분이 가정의 달인 5월에 상당히 우울해 하셨다. 

 

그렇게 우리의 역사는 기억의 한편으로 사라져만 간다. 

인간은 망각의 동물일 뿐인걸까? 

그래서 자꾸만 잊고, 똑같은 일을 겪을 수 밖에 없는걸까? 

그렇다. 

어쩌면 그렇기에 이런 작품이 더욱 인기가 있어야 한다. 

단,, 이것이 작품으로 끝나서는 안될 것이다. 

나의 삶의 자리에서 이 작품이 다시 살아나야 할 것이다. 

'우리를 기억해' 달라는 그 짧은 외침,, 

'기억'은 과거를 현재로 살아내는 것이다. 

'역사'는 필요 없는 반복을 원하지 않는다. 

'역사'는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진실'을 보여주며, '미래'에 '희망'을 갖게 한다. 

 

좀더 '인간다운 역사'를 살아내라고 '역사'는 말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