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하느님
조정래 지음 / 문학동네 / 2007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산 자와 죽은 자...

이 둘 중에 어떤 사람이 행복할까? 당연히 산 사람일 것이다. 하지만 죽음이 좋은 사람도 있을

것이다. 오늘은 이 문제가 주제가 아니다.


오늘은 주제는 약함이다.

약소국에서 태어난 罪로 일본군에게 끌려가고,

일본군이 약했기에 소련군이 되고..

소련군이 약했기에 독일군이 되고..

독일군이 약했기에 미군의 포로가 된 이들..

그것도 모자라 강대국들의 어깨 사이에서 총소리와 함께 사라져간 이들이 있다.


죽음의 갈림길에서 들려오는 그 목소리.. 부모님의 당부는 그를 살리는 힘이다. 책의 제목과는

달리 하느님은 아주 짧게 나온다. 아이고 하느님, 고맙습니다.', '아이고 하느님, 우리 죽습니다.'
 


그것은 누군가를 향해 외치는 소리가 아니다. 포로와 군인 사이에서 겪게 되는 현실...

그것에 대한 자그마한 외침이다.



역사가 기억을 말한다는 책의 제목이 생각난다. 아직 책을 읽진 못했지만.. 보통 역사의 주인공은

 위대한 사람들이다. 그리고 국가이다. 하지만 역사는 약자를 기억하지 못한다. 노르망디의 노란

 얼굴을 기억하는 사람은 많지 않다. 이제 와서 그들을 기억한들 무슨 소용이 있으랴?? 하지만

역사는 기억을 말한다. 오늘 알게된 이 역사가 오늘의 나를 만든다.



약했기 때문에 당한 것일까? 그래서 나는 앞으로 강해질 것인가?? 그것이 아니다. 이것은 약함과

 강함의 차이가 아니다. 의미 없는 이데올로기와 권력이라는 욕심 때문에 이루어진 허무함에 대한

 거칠것 없는 비판이다.


나의 민족 가운데 일어난 가리워진 이 사건으로 말미암아 기억할 것은 민족주의를 뛰어넘

 더 큰 나라 사랑과 민족애, 그리고 평화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