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험한 관계학 - 상처투성이 인간관계를 되돌리는 촌철살인 심리진단
송형석 지음 / 청림출판 / 2010년 11월
평점 :
절판




 

낯익은 얼굴이 무척이나 반갑다.
작년 이 맘때 읽었던 위험한 심리학을 통해 저자를 처음 만나게 되었고 그 책을 통해서 타인에 대한 호기심이 선입견으로 발전하게 되는 과정과 선입견에 대한 좋지 않은 면을 갖기 보다는 선입견에 대한 특징을 제대로 파악할 수만 있어도 상대의 마음을 쉽게 알아낼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는데 위험한 심리학이란 책으로 나는 그 이전까지도 어렵게만 느꼈던 심리학을 보다 가깝고 친근하게 느낄 수 있었기 때문에 흥미로운 책으로 기억된다. 그런 이유때문인지 저자의 신간소식이 더욱 반가웠는데 이번 책의 제목은 위험한 관계학이다. 세상을 살아가면서 가장 어려운 일중에 하나가 상대방과 관계를 맺는 일이 아닐까
대인관계로 아파하고 힘들어하는 일이 많아지는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일지 이 책을 통해서라면 그 해답을 찾을 수 있을것만 같았기 때문에 서둘러 책장을 펼쳐들었다.




가장 사랑하는 사람들이 지긋지긋하게 느껴진다면 필시 문제가 있는 것이다
나를 중심으로 관계를 맺게 되는 외부를 생각해보면 부모와 형제자매가 있으며 친구들과 이성관계, 이웃, 가상의 상대와 맺는 상상의 관계까지 떠올릴 수 있는데 위험한 관계학은 이렇게 가까운 사람과의 어긋난 관계를 진단하고 불편한 관계를 보완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하는 책이다. 전작이 상대방에 대한 객관적인 타입을 파악하는 법에 대해 쓰여진 책이었다면 이번 신간은 타인이 살아가는 방식을 파악하고 시간에 따라 왜 그런 성격이 되었는지 원인을 알 수 있는 책이다.

 






인간이 성장하는 데 가장 필요한 것은 아마도 경험과 자극이라 생각된다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자질이 완성되고 삶의 방식이 정해지는 것이다. 자신의 태도나 가치관에 대해 깊이 생각하고 때로 잘못되었다는 판단이 들게 되면 새로운 결심을 하게 되고 그 사이에 스스로의 인격요소들은 서로 싸우기도 하고 타협도 하면서 인간은 더욱 성장하게 된다. 모든 인간관계의 근원은 부모와의 관계로부터 시작되는데 부모는 인간으로서의 기본적인 태도와 성향을 자식에게 물려주게 된다. 부모가 아이를 정서적으로 편안하게 해준다면 아이는 친구와의 관계도 무난하고 원만한 성격을 가질 수 있게 되지만 그에 반대되는 경우는 집중력이나 대인관계에 반드시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다양한 성향을 가진 부모의 특징을 읽는 내내 부모의 사소한 관심과 말 한 마디가 자식에게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지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었고 다양한 사례를 통해 실생활에서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관계에 얽힌 복잡한 문제들에 대한 해답도 찾을 수 있었다. 관계가 성립되는 이유을 알게 되고 인간관계의 다양한 모습을 읽다보면 문제가 생길 수 있는 함정을 파악할 수 있게 되면서 자연스레 타인과 잘 지낼 수 있는 특별한 기술까지도 알 수 있게 된다. 모든 인간관계의 처음과 끝은 대화이지만 대화에도 부드럽게 이어가는 특별한 방법이 있었다. 송형석 원장의 책이 흥미로운 이유는 복잡하고 미묘한 심리에 관해 일반인들이 읽기에도 어렵지 않게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재미있게 풀어가는 데 있다. 직접 얼굴을 보고 눈을 맞추고 대화를 나누는 것처럼 편안한 기분을 느끼며 책을 읽을 수 있었던 것은 그만큼 저자가 심리학의 대중화에 노력했다는 흔적으로 보여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