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조선 미술관 - 풍속화와 궁중기록화로 만나는 문화 절정기 조선의 특별한 순간들
탁현규 지음 / 블랙피쉬 / 2023년 2월
평점 :
미술 관련 책은 가끔 읽는 편인데, 어떤 특정 시대의 화가의 삶과 그의 그림을 동시에 다루는 형식일 때가 많다. 거기에 보통 서양 쪽 화가를 다룬 책을 보기에 마련인데, 조선의 여러 그림을 소재로 한 책은 처음 읽는 듯하다.
이 책은 제목인 <조선 미술관>이라는 말에 어울리듯이 조선 시대의 여러 그림을 보여주고 그에 관한 설명을 큐레이팅하듯이 들려주는 이야기다. 그림의 내용에 관한 큐레이터의 독자적인 해석과 더불어서 화가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역사적인 사실까지 이야기에 자연스럽게 녹아들어서 즐거우면서도 전문적인 지식이 가득 담긴 훌륭한 책이었다.
그림은 아예 낯선 화가가 아닌 우리에게도 친숙한 여러 화가를 다룬다. 김홍도나 정선, 신윤복 등을 다룬다. 나도 이름은 들어왔고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그림을 보아왔지만, 이 책에서는 유명한 화가의 그다지 알려지지 않은 그림을 주로 소개하고 있었다. 그를 통해서 나는 김홍도가 동물 그림을 정말 귀엽게 잘 그린다는 사실을, (강아지나 사슴이 정말 귀여웠다.) 신윤복 여성 설이 나도는 이유가 당대 화가들이 잘 그리지 않은 ‘여성’을 그림의 주체로 세웠다는 점에서 그렇다는 것도 알게 되었다. 또 신윤복이 음흉한 스님을 그렇게 잘 그린다는 것도…. 그 스님들이 좀 징그럽기는 했다.
조선 시대는 유독 기록을 남기는 것을 중시하던 시대였고 궁중의 그림도 예술이라기보다는 그런 기록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그럼에도 그 그림은 당시의 상황을 충실하게 재현함으로써 후대의 인물들에게 그림 속 인물들의 마음이나 감정 등을 알 수 있게 도와준다. 말미에는 미술관이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여러 화려하고 시각적이고 청각적인 전시를 늘려나가는 것이 아쉽다고 말한다. 미술관이 그림을 감상하는 곳이 아닌 하나의 ‘체험’을 위한 공간으로 변화하는 것 같다고 말한다. 그런 상황에서 책이 본래의 방식으로 그림을 감상하는 수단이 될 수 있다고 작가는 말한다. 나는 거기에서 이 책의 저자가 가진 철학을 엿본 느낌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