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고 온 여름 소설Q
성해나 지음 / 창비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성해나 작가는 이전의 소설집인 <빛을 걷으면 빛>에서 먼저 만나본 적이 있는 작가이다. 사실 그때는 그 소설집을 안 좋게 읽었던지라. 이번에 나온 <두고 온 여름>을 읽으며 큰 기대를 하지 않은 참이었다. 하지만 요즘 출판 시장의 트랜드에 맞춰서 나온 얇은 책은 내게 부담스럽지 않다고 손짓하는 것 같았다. 그렇기에 이 책을 읽게 된 것이었다.

 

<두고 온 여름>은 양부모의 재혼으로 짧은 시간 동안 형제가 된 기하와 재하의 이야기다. 기하와 재하의 시점에서 번갈아 이야기가 서술된다. 제일 먼저 서술된 건 기하의 이야기다. 사진관을 운영하는 아버지가 재혼하고 데려온 아들 재하와 그의 어머니를 그려나간다. 아토피가 심한 재하는 잘못된 처방으로 피부가 더욱 악화되어서 그의 친아버지에게 괴물새끼라는 소리까지 듣는다. 새로 가정을 이룬 재하의 어머니는 어떻게든 기하의 마음을 열어보려고 애쓰지만 기하는 그런 시도가 모두 성가시게 느껴질 뿐이다.

이 두 가족의 일시적인 가족되기는 마치 한 계절의 여름처럼 짧게 지나간다. 앞에서 재하의 친아버지가 재하에게 괴물 새끼라는 말을 했다는 걸 기억할 것이다. 그런 말을 하는 인간은 당연히 인간 말종일 뿐이다. 두 가족의 결합은 재하의 친아버지가 기하의 아버지의 가게에서 난동을 피운 사건을 계기로 깨지게 된다.

 

이 소설은 총 4장의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하와 재해의 시점이 반복된다. 소설 분량이 짧으므로 두 사람의 이야기는 말하는 것보다 말하지 않는 것이 더 많다. 그리고 그 말하지 않은 것이 내 마음을 울린다. 장을 넘어갈 때마다 서로의 시점과 인생의 궤적에 대해서 말해준다. 자기 인생을 망친 재하의 친아버지를 연민하는 재하의 어머니. 그렇게 깨진 가족에 대한 그리움을 숨긴 기하의 아버지. 30대 중반 이후로 줄곳 내리막이었던 기하와 재하의 인생. 두 사람의 짧은 만남이 어떤 의미인지를 작가는 독자에게 도통 설명해주지 않는다. 결국 독자는 그 여백을 스스로의 상상으로 채워나가며 자신만의 이야기와 감정을 기하와 재하의 이름으로 써내간다. 나는 거기에 흠뻑 빠져가며 이 소설을 읽었고 크게 만족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