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연 - 앤솔러지 소설집 - 아시아의 젊은 작가들
정세랑 외 지음, 홍은주 옮김 / 문학동네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절연>이라는 주제로 쓰인 이 책은 아시아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협업으로 만들어진 작품이다. 홍보 단계에서는 기획자가 정세랑 작가라는 이야기가 있었다. 나도 그 문구가 흥미로워서 구매했다. 하지만 책을 펴보니 국가가 다른 작가들의 원고는 일본 쪽 출판사에서 수집하고 일본어로 번역한 후, 한글로 번역한 것 같다. 책은 한국, 일본에서 동시 출간되었다고 한다.

 

아시아 각국에 거주하는 작가들의 소설 중에 <절연>이라는 키워드에 맞는 작품을 찾아서 수록하거나 그에 맞는 소설을 창작한 것 같다. 수록된 작가들의 국적도 다양하다. 일본, 싱가포르, 중국, 홍콩, 대만, 태국, 티베트, 베트남, 한국 등. 다양한 작가들의 작품을 수록했다. 작가들은 절연이라는 키워드에서 세대를 떠올리기도 관계의 단절을 떠올리기도 했다. 수록된 작품이 많아서 기억나는 작품들 위주로 적어본다.

 

첫 작품인 무라타 사야카의 <()>는 딱 읽자마자 무라타 사야카의 작품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어딘가가 기괴한 작가만의 작품. 일본 호러 만화나 소설을 볼 때마다 느끼고는 하는 음습한 기분이 생경하다. 이런 느낌은 비단 나만 느낀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런 기괴함이 현실의 어떤 모습을 본뜻 것 같기도 해서 더 흥미롭게 느껴진 소설이었다.

 

알파안 사이트의 소설인 <아내>는 싱가포르의 무슬림이라는 이야기가 흥미로웠다. 일반적으로 싱가포르인이라면 중국계 인사를 떠올리기에 더욱 생경하게 느껴진 소설이었다.

 

하오징팡은 국내 SF소설의 팬에게도 잘 알려진 작가로 SF의 노벨상이라고 불리는 휴교상을 수상한 <접는 도시>의 작가다. 접는 도시 때도 느낀 거지만 이 작가는 장면 묘사를 잘한다. SF소설은 기본적으로 현실과는 다른 풍경을 묘사하다 보니 모호한 표현을 지양하는 편이다. 그리고 하오징팡은 장면 묘사와 이야기를 통한 스토리 전개를 잘 하는 작가이다. 이 소설에 수록된 <긍정 벽돌>은 그런 특징이 잘 드러나며 나는 마지막 장면이 참 좋았었다.

 

위왓 럿위왓웡사의 <불사르다>는 내가 난생처음 읽은 태국 소설이다. 5월에 태국 여행을 다녀온 적이 있기에 이 소설에서 묘사된 태국의 풍경이 반갑게 느껴졌다. 하지만 소설은 좀 난해하게 느껴졌다. 태국은 정치적인 의사 표현을 거의 안 하는 것이 문화로 자리잡았다. 태국인들의 정치적 의사 표현은 조용하게 투표를 통해서 표현되거나 한다고 한다. 이 소설에서 보이는 것이 그러한 모습을 소설화 한 것은 아닐까 한다.

 

홍라이추의 <비밀경찰>은 코로나 시기를 바탕으로 고양이와의 만남을 그린다. 위의 <불사르다>처럼 좀 난해하게 느껴진 소설이었다.

 

라샴자의 <구덩이 속에 설련화가 피어 있다>는 티베트 청년들의 애환을 담으면서도 헬조선담론처럼 채념하는 것이 아닌 희망을 탐구한다는 점에서 이 소설집에서 가장 좋게 느껴진 소설이었다.

 

베트남 작가인 응우옌 응우 뚝의 <도피>는 일반적으로 생각되는 어머니상을 배반하는 결말이 좋았다.

 

대만 작가인 롄밍웨이의 <셰리스 아주머니의 에프터눈 티>는 대만 작가가 배경이면서 카리브 해의 세인트 헬레나 섬이 배경이어서 좀 당황스러웠다. 대만적인 특성은 잘 안 끄져지고 이민자 가족이 주인공인 디아스포라 문학을 보는 듯한 느낌이 들었다.

 

마지막에 수록된 작품은 한국의 정세란 작가의 <절연>이다. 자신의 제자와 부적절한 관계를 시도하는 남성에게 권력을 준 사람들이 주인공과 친한 선배들이라는 사실에 사실상 절연을 하는 내용이다. 키워드를 가장 피상적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할까? 정세랑 작가의 작품이니 읽는 맛이야 있었지만은 개인적으로는 작가의 다른 작품에서도 여러 번 본 내용이고 구도이기도 해서 익숙하게 느껴진 소설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