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김승옥문학상 수상작품집
편혜영 외 지음 / 문학동네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젊은 작가상이 등단한 후 10년 이내의 신인들에게만 부여하는 문학상이라면 김승욱 문학상은 등단 10년이 지난 중견 작가에게 수상한 작가이다. 왕성하게 활동하는 작가들인 만큼 수상자의 면면은 이미 알 만큼 안 작품이어서 젊은 작가상 만큼이나 의외의 작가는 별로 없었다. 수록된 여섯 편의 작품 중 기억나는 것을 적어보겠다.

 

먼저 대상 수상작인 <포도밭 묘지>는 편혜영 작가 특유의 사회적 구조를 탈출하려는 인간과 그에 좌절하다가 끝내 고꾸라지는 모습을 그려나가는 소설이다. 고졸 출신 여성 은행원이라는 어찌보면 한국 소설에서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인물이 그려진다. 솔직히 말해서 이런 등장인물이 나오면 열에 아홉은 나이가 들어 직장에서 퇴직하거나 직장에서 만난 회사원과 결혼을 해서 애 낳고 사는 전개가 나온다. 이 소설에선 세 등장인물이 나오는데 그 전개를 그대로 따라간다. 한국 소설 매니아인 나에게는 익숙하게 느껴졌고 그래서 이 소설이 굳이 대상을 받을만한 것이 었나 싶기까지 했다. 이상 문학상 수상작인 최진영 작가의 <홈 스위트홈>은 건강과 병자에 대한 사회의 이데올로기를 전복시키는 아이러니를 보여줘서 정말 좋았었는데 이 소설은 너무 자주 보이는 소재고 전개였던 지라 새로운 미학이나 전개라고 느껴지지는 않았다.

 

정한아 작가의 <일시적인 일탈>은 소설가인 지인의 죽음으로 죽은 지인에게 빠져드는 를 그려나간다. 자아의 분열에 가깝고 그 일탈의 과정에서 뭐랄까. 정말 잔인하게 망하는 주인공의 모습이 아찔하게 느껴졌다. 작가가 등장인물을 이 정도로 망하게 만드는 것도 쉬운 일이 아니다. 정한아 작가는 이걸 거침없이 해냈다. 그 거침없음이 유독 눈에 띄는 소설이었다.

 

문직혁 작가의 <우리가 다리를 건널 때>는 이 소설집에서 가장 의외의 작품이었고 가장 좋은 소설이었다. 문지혁 작가는 원래 SF를 쓰던 작가였는데 민음사에서 <초급 한국어>를 출판한 이후에는 뉴욕에서 유학한 시절의 자전적 경험을 바탕을 문학적으로 풀어냈다. <우리가 다리를 건널 때>는 말 그대로 우리가 다리를 건너는 내용으로 논문을 준비하면서 다리에 대한 이야기를 수집하는 가 등장한다. 다양한 사건과 지식이 혼재되지만 그를 감안 해서도 형식적으로도 재미 면에서도 새롭고 뛰어난 소설이었다. 그의 다른 작품도 읽어볼 생각이다.

 

그 외의 작품으로는 김연수 작가의 <진주의 결말>, 김애란의 <홈파티>, 그리고 백수린 작가의 <아주 환한 날들>이 있었다. 이들 작품은 다른 문예지나 소설집을 통해서 미리 읽어본 상태라 뭔가 후 순위로 느껴졌다. 그렇다해서 이들 소설이 완성도가 떨어진다는 것은 아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