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소원은 전쟁
장강명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제는 출판된지 오래된 소설로 장강명 작가가 자신의 글쓰기 책에서 <블랙 달리아>를 지침으로 썼다고 했는지를 이해할 수 있는 소설이다. 한국에서 이런 느낌의 소설이 나왔다는 게 놀라웠다. 동시에 즐거운 독서이기도 했다. 진부한 말이지만, 읽는 내내 손을 놓지 못할 정도로 재밌었다.


작가는 독자의 이해를 위해서 소설의 앞부분에 몇 페이지를 할애해서 이 소설의 배경을 간단하게 소개해준다. 근 미래에 북한의 김씨 왕조가 무너지고 남한은 현재 대북 전문가들이 가장 이상적이라고 할 수 있는 시나리오로 통일을 이룩한다. 중국과 미국의 간섭은 최대한 배제되고 남한을 중심으로 한 다국적군에 의해서 북한이 통제되며, 대규모 난민이 남한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은 상황이다. 적어도 남한의 입장에서는 가장 이상적인 시나리오일 것이다. 그러나 북한의 입장에서는? 어느 날 갑자기 자신들의 인생을 지배했던 사회체제가 무너진 북한 인민들에게도 이 시나리오는 이상적인 시나리오일까? 장강명 작가는 소설가다운 방식으로 이 질문에 대답한다.


북한의 옛 군인들이 모여서 하나의 단체를 만든다. 조선해방군이라는 거창한 이름을 가졌지만, 조선해방보다는 마약판매를 통해서 부를 축적하는 군벌이자 마피아다. 그들이 자신들에게 커다란 부를 안겨줄 작전을 추진하고 개성에 인접한 장풍군의 폭력단체와 연계하여 그 작전을 추진하고, 방해되는 것들을 하나 둘 씩 제거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순조롭게 진행될 것 같았던 작전은 장리철이라는 인물이 장풍군에 등장하면서 큰 위기에 빠지게 된다.


대략적인 줄거리는 이러하고 장강명 작가의 속도감 있는 문체와 어우러지면서 흡입력이 대단하다. 사건이 뻥뻥 터지는데, 혼란스러운 북한의 사회를 입체감 있게 묘사하면서 그 사건들도 충분한 개연성을 획득한다. 장리철이라는 캐릭터도 상당히 매력적이다. 전직 북한 특수부대 출신으로 투박하고 단순한 인간인 이 남자는 체제에 충성을 다하면서 인간의 기본적인 윤리마저 교육받지 못했지만, 소설 속 일련의 사건을 거치면서 서서히 인간성과 윤리의식을 가지게 된다. 아쉬운 것은 이러한 과정이 점진적으로 등장한 것이 아니라. 갑자기 등장한다는 점이다. 장리철이 최후의 결전을 앞두고 마약조직원들을 처단하기로 결심하는 과정에서 그의 심리상태를 작가의 직접적인 묘사로 표현한 것은 옥의 티라고 느껴진다.


스릴러물에 취향이 없어서 딱히 찾아서 읽지는 않지만, 서점가 스릴러물 코너에 국내 작가의 이름이 거의 없는 것쯤은 알고 있다. 장르문학의 풀이 옅은 국내 문학계에 장강명이라는 작가는 소중한 이름일 것이다. 단순히 재미있는 스릴러물만 써도 칭찬받을 만한데, 평소에 사회비판적인 글을 쓴 작가이기에 독자들이 고민할 수 있게 만드는 재미마저 준다. 잘 찾지 않았던 작가였는데, 앞으로는 한 번쯤은 더 찾게 될지도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