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 쉬는 소설 창비교육 테마 소설 시리즈
최진영 외 지음, 곽기영 외 엮음 / 창비교육 / 202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비에서 내는 무슨 무슨 시리즈의 새로운 소설이다. 이 시리즈의 특징은 다른 출판사처럼 특정한 주제에 맞춰서 엔솔러지를 기획하는 게 아니라 기존의 소설들에서 키워드에 맞는 소설을 선정해 책을 낸다는 점이다. 이전에 읽은 <가슴 뛰는 소설>은 사랑에 관련된 소설들 모음집이었다. 이번 <숨 쉬는 소설>의 테마는 바로 환경이다. 한국 소설 중에서 환경을 본격적으로 다룬 소설은 보통 아포칼립스 적인 분위기의 SF소설이나 고발 소설밖에 없다고 생각하는데 생각보다 다양한 분위기의 소설을 선정했다. 그 덕분에 키워드가 통일되지 않는 것 같은 소설들도 많았다.

 

최진영의 <돌담>은 작가의 다른 소설집에서 봤던 소설이었는데 도시에서의 상처를 자연이 충만한 고향으로 내려와 회복한다는 점이 기억에 남는다. 돌담이 만들어지는 사연도 굉장히 인상깊게 남았다. 단순히 힐링으로 끝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인상 깊었던 소설.

 

단순히 가해자 인간- 피해자 자연의 관계라는 스테레오 타입보다는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를 통해서 만들어지는 이야기에 집중에서 좋았던 소설이 많았다. 김기창 작가의 <약속의 땅>은 본격 북극곰 소설이었고, <심심풀이로 앨버트로스>는 태평양 쓰레기 섬을 다룬 풍자 소설에 가까웠다. <노찬성과 에반>은 소년과 개에 가까운 소설이었다. 임솔아의 <신체 적출물>은 제목에 어울리듯 약간 그로테스크한 소설이었다. 어쩌면 가장 키워드에 어울리는 소설은 조시현 작가의 <어스>였던 것 같다. 전형적이라면 전형적이지만 그것이 주는 재미 또한 충분했다는 생각이 들었다.

 

오늘도 한 권의 소설 여행이 끝났다. 한 작가의 세계를 들여다 보는 것은 유튜브를 보는 것처럼 웃기기만 한 것은 아니지만 충분히 즐거운 일이다. 한 권의 좋은 책을 읽었고 그만큼 즐거웠다. 다음 책도 충분히 재미있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