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 광기 그리고 죽음의 이야기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190
오라시오 키로가 지음, 엄지영 옮김 / 문학동네 / 2020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라틴아메리카 출신 작가들의 소개 문구는 어쩐지 항상 비슷하다는 느낌이 든다. 가령 환상 문학이라던가 열대의 문학같은 문구들 말이다. <백년 동안의 고독>이나 <연애 소설 읽는 노인>, <뻬드로 빠라모> 같은 소설들을 읽다 보면 축축하고 끈적거리는 열대의 공기가 느껴지는 것 같았다. 또 고된 노동에 시달리는 인디오 노동자들, 술과 담배, 태양의 정열을 품은 여자들과 그들에게 마음을 빼앗긴 남자들은 빠트릴 수 없다. 오라시오 키로가의 소설집인 <사랑 광기 그리고 죽음의 이야기>에도 그런 라틴 문학 특유의 분위기는 빠지지 않고 등장한다. 그리고 제목에서 소설들이 예고하듯이 사랑, , 광기가 넘실거린다.

 

이 책에선 정말 많은 죽음이 등장한다. 사랑하는 연인이 사랑하다 헤어졌고 10년 후에 재회한다. 그 사랑은 한 사람의 죽음으로 끝난다. <사랑의 계절> 보석 세공사는 극성맞은 아내에게 시달리다가 결국 아내를 살해하고. <엘 솔리타리오> 선원들을 자살하게 만드는 배도 등장한다. <사람들을 자살하게 만드는 배> 기생충은 어떨까? 살아있는 생물의 몸에 알을 낳고 생명을 빼앗는 벌레들은 현대에서도 유의미한 공포의 대상이다. 물론 이 책에서도 기생충이 등장한다. 우리가 매일 베는 베개에 숨어서 말이다. <깃털 베게> 이외에도 사람들은 계속해서 죽어 나간다. 이제는 병원 외에는 죽음을 목격할 일이 없는 현대인에게 죽음은 절대적인 공포로 다뤄진다. 죽음의 공포, 우울한 병동과 예전과는 다른 환자들. 그러나 이 소설의 죽음들은 뭐랄까 하나의 사건으로 다뤄진다. 흔히 그러는 것처럼 죽음을 공포의 대상으로 묘사하지 않고 인간이 의례 겪는 사건으로 묘사한다는 것이다. 마치 밥을 먹었다. 혹은 화장실에 갔다. 하는 식이다. 예를 들자면 <천연 꿀>에서는 모험에 낭만을 품은 한 사내가 정글 속에서 독이든 꿀을 먹고 마비 증상에 시달리다가 죽는다. 이 소설의 마지막 문단의 말투는 백과사전의 문장을 그대로 옮겨 놓은 것 같다. 대수롭지 않다는 듯이 말이다.

 

작가인 오라시오 키로가가 살았던 시기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이다. 문명은 발달했고 인간은 발전된 과학기술과 의학의 힘으로 나날이 진보되어 갔지만, 그때까지 인간은 쉽게 죽을 수 있었다. 특히 남미처럼 덥고 습한 환경에서 죽음은 더욱 심했다. 최초의 항생제인 페니실린은 1928년에 개발되었으며 모기를 숙주로 한 말라리아는 열대에선 더욱 기승을 부렸다. 열대의 풍토병은 더 많은 사람을 죽게 했을 것이고 가난한 노동자층은 고된 노동을 달래기 위해 술과 약을 남용하다. 스스로나 심하면 남을 해치기도 했다. 이런 죽음의 일상적인 풍경은 일제 강점기 시절의 우리나라 소설들에서도 흔히 보인다. 다만 일제 강점기 시절이 소설과 키로가의 소설의 차이점은 죽음을 다루는 무게가 다르다는 것이다. 이토록 죽음이 잦았던 시기이니 죽음을 받아들이는 자세도 현대의 독자들과도 크게 차이 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작가는 아무렇지 않게 글을 썼겠지만 백 년이 지난 후 그의 글을 읽는 나에겐 키로가의 소설은 과거에서 올라온 새로움이라고 말하고 싶다.

 

비단 죽음과 광기에 관한 이야기만이 이 책의 전부는 아니다. 그보다는 웃음 짓게 만드는 글들도 많다. 키로가는 개를 키우고 애정이 있었던 모양인지 개를 주인공으로 한 소설도 있었다. <일사병>, <야구아이> 같은 소설은 개만 보면 사족을 못 쓰는 내겐 정말 귀여운 소설이었다. 물론 작가가 작가이니 결말이 좋지는 않았지만. <우리가 처음 피운 담배>는 한 가족의 익살스러운 일화를 듣는 것 같았다. 물론 작가가 작가이니만큼 누가 죽는 건 아닐까 조마조마하며 읽었다. 그리고 문장에 대한 얘기를 빼놓을 수 없을 것이다. 나는 이런 문장을 데자와문장이라고 한다. 너무 개인적인 설명일 수도 있는데 나는 데자와라는 밀크티 음료수를 아침에 일어나 거나 출근 전에 마신다. 그러면 데자와에 함유된 카페인이 혈관에 스며드는 느낌이 드는데 그게 그렇게 좋을 수가 없다. 그러니깐소설의 문장이 몸에 스며드는 것 같았다는 말이다. 작가가 잘 쓰기도 했겠지만, 번역이 좋았던 것도 이유일 것이다. 오랜만에 재밌는 책을 읽었다. 책을 읽을 때 가장 투자되는 두 가지. 즉 돈과 시간을 아낌없이 투자해서 만족스러운 책이었다. 여러분도 꼭 읽어 보시길. 강력추천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