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 코드 - 최후의 1인자가 되기 위한
강인선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3월
평점 :
절판


 
[리더십 코드]

 

근래에 들어 리더십에 관한 책을 여러권 읽은 것으로 기억된다.

흔히들 문맥상 드러나는 그런 뻔한 내용이 아닌 일단은 미국이라는

강대국을 내세워 그 나라를 대표할 리더를 뽑는 다소 흥미로운 주제를

껴안고 정치부 기자라는 특명 아래 2000년부터 8년간 미국 대선을 관찰한

기록을 담은 '리더십 코드:최후의 1인자가 ..'는 읽는내내 내 시야를 확

트이게 하는 큰 움직임이 자리잡고 있었다.

저자가 말하고자 하는 주된 내용은

국민의 마음을 사로잡는 리더십이란 무엇을 말하는 것인지 이들의 리더십

코드를 면밀히 기록한 것을 따라가다 보면 마치 축구 경기를 볼때 가장

흥미로운 점수체제가 떠오른다.

2:1도 아닌 2:3인 스쿼어가 얼마나 보는 관중들을 제대로 흥분하게 하는지

그 게임을 직,간접으로 보는 그들에게 있어선 최대의 볼거리이자 가장 기억에

남는 게임인 것이다.

이처럼 미국의 대선은 그들의 큰 리그인 것이다.

실상 미국이란 나라는 지극히 개인적인 생각이지만서도 패권주의로 세계각국을

자기네 손아귀에서 줬다 폈다 하면서 독식하려 하는 그런 나라로 보인다.

세계질서를  잡는다는 명목하에 얼마나 많은 나라들의 사사건건 간섭과

자기들의 손바닥에서 놀게 하려는 것인지 그들의 뻔한 속셈이 보이면서도

늘상 그들의 소식에 대해 귀추가 주목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최대강국이라

서일까 조금은 씁쓸함이 밀려온다.

그 이전에 자세힌 아니더라도 직선제를 취하는 우리와 달리 미국의 선거제는

미국은 선거인단을 구성하는 예비선거를 먼저 치르고 이 사람들이 다시 투표를

하는 간선제를 취하고 있는 나라이다.

이것만 보더라도 미국이란 나라가 얼마나 국토가 넓은지 인구가 많은지를 대략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쟁쟁하고 능력있는 후보자들 중에서 단연코 내가 응원을 아끼지 않았던 미국 정치

사상 유일무이한 아프리카계 미국인 정치신인 오바마였다.

미국의 42대 대통령 빌 클린턴의 부인이 아닌 44대 대통령 후보로 나선 힐러리

클린턴과의 박빙이 손에 땀을 쥐게 할 정도로 대중매체에서 접한 소식들은 만감

이 교차하곤 한다.

드라마는 예상할 수 없다,손 끝 하나에 의해 뒤짚힐 수 있는 운명이기에 마지막

접전까지도 한 눈을 뗄 수 없는 이유라 할 수 있겠다.

그 중 대세를 결정하는 '슈퍼 화요일'은 미국 대통령선거에서 쓰는 말이다.


미국 대통령 선거과정 중 각 당의 대통령 후보자를 실제로 결정 짓는 날을
의미하기도 한다.이 날 대의원을 1000명 이상 뽑는다는 것 자체만으로 슈퍼다.
게다가 대선을 11월로 정한 이유와 미국에서 이뤄지는 투표는 대개 화요일에
실시되는 이유는 마차를 타고 다니던 시절, 투표장에 가려면 하루 이상이 걸려
안식일인 일요일을 피해 그 다음날인 월요일에 출발해도 화요일이 돼야
투표장에까지 갈 수 있었기 때문이라 한다.
읽을수록 꽤 흥미진진하다.그렇다하여 흥미롭게 관전만 꾀할 수는 없는 노릇
이다.누가 최후의 1인이 되든간에 그 대선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
하자면 많은 진통이 따를 것이 불 보듯 보여지기에 나름 우리나라에 대해
너그러운 그가 대선에서 승리하길 하는 바람이 내게 강하게 일고 있다는 것을
전하고 싶고 최후의 1인인 대통령이 되어서 질서가 잡힌 관리와 올바른 통치의
리더십이 이뤄져야 한다는 사실과 함께 그들의 리더십 코드는 현재 진행형이다.
 
그 마지막 날까지 그 최후의 1인인
그를 응원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