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자상 ㅣ 즐거운 그림책 여행 34
김하영 지음, 신소담 그림 / 가문비(어린이가문비) / 2025년 4월
평점 :
- 이 서평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

우리나라 전통 문화에 "사자상"이 있다는건 이번 동화책을 통해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저도 모르는 우리나라의 전통문화가 참 많은 것 같아요. 이렇게 알게 돼서 아이에게 알려줄 수 있어 좋네요! 이런 걸 발견할 때마다 사라져 가는 전통문화가 참 많다는 걸 많이 느끼게 됩니다. 현대에 들어서 더이상 하지는 않더라도 이런 문화가 있었다는 건 알려지면 참 좋겠어요. 시간이 흐르면서 사라지고 바뀌어 가는 것들이 생기는건 어쩔 수 없지만, 아예 잊혀지는건 또 다른 문제인 듯 싶어요. 아이들에게 따로 우리 전통 문화들에 대해 배우고 익힐 수 있는 시간이 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잠시 해봅니다.

주훈이는 장을 담그는 할아버지가 못마땅합니다. 친구들도 놀리고, 동네 주민들 사이에서도 남자가 장을 담근다며 숙덕숙덕 말이 많거든요. 게다가 한번씩 할아버지는 그렇게 담가 일년은 묵힌 간장 한 병씩을 상갓집에 들고 가십니다.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할아버지의 행동은 주훈이 친구들 사이에서 저승사자 조수라 소문이 나게 되지요. 주훈이는 도저히 참을 수가 없었어요. 그래서 할아버지를 미행해 보기로 합니다. 그리고 보게 되지요. 할아버지가 무시당하는 모습을 말이예요. 주훈이는 이 모든게 싫기만 합니다. 할아버지가 담근 장 때문에 벌어진 일이라 결론지은 주훈이는 할아버지의 장을 못쓰게 만들기로 하지요. 대체 할아버지에게는 어떤 사연이 있는 걸까요?!

예전에는 염라대왕이 보낸 저승사자에게 먹일 사자상을 꼭 차렸다고 해요. 저승사자는 세명이 한 팀이라고 알려져 있죠. 그래서 사자상에 올려지는 밥, 동전, 술, 짚신, 묵은 간장도 모두 세개씩 준비를 했답니다. 저승사자가 배불리 먹고, 묵은 간장을 마셔 목이 말라 물을 마시러 다시 돌아오면 죽은 사람이 다시 살아날 수 있다고 믿어서였대요. 이런 우리의 전통문화를 저도 이번에 처음 알았어요. '죽음'과 관련된 주제나 이야기는 보통 꺼리기 때문에 더 듣을 기회가 없었던 것 같기도 해요. 우리 아이들은 저보다 더 많은 전통문화를 알게 되면 좋겠어요. 관련 동화들에 대한 출간 소식을 좀더 자주 들을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