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우리 집에 왜 왔어?
정해연 지음 / 허블 / 2025년 2월
평점 :
- 이 서평은 출판사에서 도서를 제공 받아 직접 읽고 작성한 리뷰입니다. -

정해연 작가의 작품은 항상 기대되곤 한다. 읽었던 작품 모두 가독성도 좋고 재미있었기에 새로운 이야기를 만나게 되면 이번에는 또 어떤 이야기일지 기대감에 부풀어 책이 올때까지 기다리게 된다. 그래서 이 작품도 출간 소식을 보자마자 반가움과 기대감에 읽을 날만 기다렸다. 우리 집에 왜 왔냐니. 누가 누구에게 무슨 일로 하는 말일까. 제목부터 호기심을 잔뜩 끌어낸다. 도착한 책을 읽어보니 세 편의 단편을 만날 수 있었다. 첫 이야기에서 소름이 돋았다가 두번째에서 부성애와 긴장감으로 마음을 졸였고, 세번째에선 다시 소름 끼치는 이야기로 마무리 되었다. 역시 가독성과 재미를 놓치지 않았다.

<반려, 너> 반려견을 이용한 플러팅, 그리고 시작되는 연인의 이야기..인 줄 알았다. 아주 잠시 잊었더랬다. 이 작가님, 추리 스릴러 전문이신 분이란걸. 멀쩡한 허우대에 속은 썩어있는 이런 사람,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는 방법 뭐 없나?! <준구> 어느새 우리 사회 깊숙히 파고든 마약. 마약 청정국이란 말은 옛말이나 다름없는 지금의 현실이 무섭고 안타깝고 속상하다. 마약을 공급 받기 위해 별의 별 방법을 동원 한다던데, 준구 자신이 이용 당할 줄 누가 알았을까. 이 가족에게 드리운 평생의 트라우마는 그 누구도 책임지지 않겠지.. 마약 등 약물과 관련해 더더욱 강력한 법과 처벌이 필요한 때가 아닌가 싶다. <살> '완벽한 우리집'이라는 말이 이렇게 소름끼치는 말이었던가. 보이는 것에 집착해 가족의 생각과 마음을 외면하고, 스스로의 눈과 귀도 가린채 남의 시선만 신경 쓰며 자기 기준에 맞춰 가정을 꾸려낸 여자만의 행복한 우리집. '살'이 날아와 애써 감춰둔 치부가 드러나고 딸이 생사를 오고가는데도 완벽한 우리집에 대한 집착을 못 버리던 여자의 모습은 너무나 소름 끼쳤다.
'가족'이라는 말의 의미를 생각해 보게 하는 이야기들이다. 가족이라며 내 입맛대로 이용하고 가족이라는 이유로 이용 당해도 말을 못하는 이런 일들이 왜 점점 독해지고 잔인해 지는 걸까. 예전과 달리 가족의 의미는 좀더 넓어졌으나, 본인 위주의 이기주의로 인해 서로 간의 감정은 약해져서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단편집이라 가지고 다니며 이동할 때 읽기에도 딱 좋은 작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