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는 신입으로 들어갔던 직장에서 15년간 근속 근무를 했다. 신입이라 아는 것도 없고 배워야 하는 것이 수두룩하니 꼴찌 성적을 달릴 수 밖에 없는 건 불가피한 일이긴 했다. 하지만 팀에 노련하고 능력 있는 선배들이 많아 전국 상위권 매출을 올리고 있던터라 팀에게 피해를 끼치지 않기 위해 열심히 하려고 했다.
항상 팀 선배들의 응원을 받으며 친언니 같은 따뜻함을 느끼며 열심히 일을 하던 중, 부장이 타부서로 발령을 권유 한다. 타부서로 옮겨져 간 곳은 자신의 강점을 살릴 수 있었던 CS부서였다. 기존 업무보다는 잘할 수 있을 거라는 생각으로 기뻤다고 한다. 이때 기존 팀 선배들이 옮긴 부서가 어떠냐고 물었는데 잘할 수 있을 것 같다라는 말을 "편하다"라고 편하게 말을 했는데 선배들이 그 말 자체에 의미를 두고 회사 내부에 소문을 퍼트렸다.
CS업무를 보는 사람들과 주변 직원들에게 집중 미움의 대상이 된다.
늘 응원의 말을 해주던 사람들이었고 친근한 느낌이라 편하게 이야기를 했던 거였지만 결국엔 그 말 자체가 화근이되었다. 전달하고자 하는 말의 메시지를 파악하기 보다 "편하다"라는 말 자체에 꽂혀 회사에 퍼트려 버린 거였다.
믿었던 사람들에 대한 배신감도 생겼을거라 생각한다. 그 계기로 직장이란 공간에 있는 사람은 '동료'로 가족,친구와 같은 관계가 될 수 없는 특수한 관계임을 깨닫고, 본인도 회사에서는 자신도 직장 '동료'라는 페르소나를 가지고 살아 가고자 마음 먹게 된다.
오해를 풀기 위해서 에너지를 쓰고 스트레스를 받기 보다 중요한 것 내가 하고 있는 일을 잘해서 이것으로 인정 받자라는 생각으로 매달리게 된다. 그렇게 시간이 지나니 사람들의 이야기도 없어지고 자신은 점점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다고 하였다.
아마 이런 일련의 사건들로 일을 통해 완벽하게 인정 받고 싶었던 게 아닐까? 그냥 단순히 일을 잘하고 싶은 '일잘러'인줄 알고 생활 했지만 시간이 지나고 보니 자신이 일중독이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맡은 업무에 책임감을 갖고 열심히 하다 보니 인정 받게 되지만, 회사가 요구하는 수준은 날이 갈수록 높아지고 타인의 인정과 기대치에 부응하기 위해 살아간다. 정작 소중한 가족은 돌보지 못한 채로.
스스로 자신의 문제점을 깨닫고는 있지만 실행하지 못하며 살아 간다. 직장에서 소모하는 에너지가 커 정작 소중한 가족과 주변 사람들을 챙길 에너지가 없었다. 중요한 것을 계속 놓치고 살아가고 있는 중에 마침 남편이 인사발령을 받게 되면서 아이를 케어할 수 없는 상황이 오자 '육아 휴직'이라는 선택지를 필연적으로 선택해야 하는 순간이 오게 된다. 휴직 기간을 보내는 동안 인생에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차츰 깨달아 가는 과정을 겪게 된다. 휴직을 마치고 회사로 돌아간 뒤, "직장 생활에서만 나의 정체성을 찾아야 할까?"라는 의문을 품게 되고, 삶의 중요도가 바뀐 상황에서 더 이상의 회사 생활은 무의미 하다고 판단되어 퇴사를 결심하게 된다.
퇴사 후 제주도로 이사를 가면서 삶에 무엇이 중요한지 더욱 섬세하게 알아가는 과정을 경험하고 삶이 주는 여유와 행복이 무엇인지에 대해 생각하게 된다.
저자의 직장 생활부터 퇴사 후의 제주도 생활까지.. 너무나 공감가는 부분들이 많았다. 특정 파트에서는 거의 모든 글에 줄을 다 그어야 할 정도였다. 같은 경험을 한 사람들은 공감과 위로를 받을 수 있을 것이고, 실제로 행동하고 싶지만 생각이 많아 주춤하는 사람들에게는 용기를 줄 수 있을 것 같다.
작가의 그동안의 삶을 녹여낸 책으로 그 서사가 머릿속에 그려지는 느낌이었다. 그림을 그리듯이 생각하며 읽다 본이 생각보다 빠르게 책을 읽어 나갈 수 있었다.
맞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행동하지 못하는 것이 있다면 저자처럼 용기를 한번 내봤으면 좋겠다.
일을 하면서 에너지를 뺏기고 쫓기고만 있다면 잠시 멈추고 자신을 한번 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보는 건 어떨까?
빡빡한 일상에 제대로 된 '여유'가 무엇인지 찾아 보는 시간을 가져 보면 좋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