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 사용법 - 제16회 창비 좋은 어린이책 대상작 신나는 책읽기 33
김성진 지음, 김중석 그림 / 창비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엄마를 장난감처럼 살 수 있다? 그리고 그 사용법이 있다는데, 엄마는 도대체 어떻게 사용해야 아이에게 좋은 것일까? 이런 재미있는 물음에서 이야기는 시작된다.

 

"엄마~" 라고 불리는 순간 기분이 한없이 좋고 행복한 감정이 밀려오기도 하지만 짜증이 날 때도 있다. 하지만 아이가 나를 찾는 순간이 있었다는 것에 대해 아주 먼 훗날 감사하게 될지도 모른다. 아이에게 엄마가 필요한 시간은 의외로 짧다. 방심하는 순간 님은 먼 곳에 가신다. 아이가 나를 찾아주실 때, 그 순간을 아이가 또 뭐 해달라고 하는거야 하며 짜증 내지 말고 충분히 즐기자. 다시는 돌아오지 않으리, 이 행복한 순간들.

 

초등 1, 2, 3학년을 위한 책이라고 해서 별다른 기대를 안 했다. 아들이 안 읽고 내버려두기에 먼저 간을 본다고 무심코 책장을 넘겼다. 그런데 읽다보니 이야기 속에 쑥 빠져서 단숨에 다 읽었다. 마치 한 편의 단편영화를 본 느낌이다. 이 책은 아동도서를 표방하고 있지만 내 생각에 이 책의 장르는 SF(science fiction)다. 영화로 만들어져도 전혀 손색없을 듯하다. 생명 장난감이라는 것은 정말 미래에 충분히 등장할 수 있다. 작가의 상상력에 놀라움을 금치 못했다. 그리고 클라이맥스에서 밀려오는 감동. 짧지만 어른들에게도 가족의 소중함과 생명의 귀중함을 깨우치게 해준다.

 

아이를 키우는 일상은 단조롭고 반복적이다. 하지만 평이한 일상이 주는 행복을 아는 사람이 진정 행복에 대해 잘 아는 사람이 아닐까. 그리고 주위에는 우리가 일상이라 부르는 것에 대해서조차 소외된 이웃들이 항상 존재한다. 결손가정이나 화목하지 못한 집안 분위기는 아이들에게 큰 슬픔이다. 가장 안정되어 있어야 하고 어떤 아픔도 그 안에서라면 녹아내려야 하는 곳, 가정. 그리고 그 중심에 엄마가 존재한다.

 

이 책을 읽고 나는 혹시 불량품 엄마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머리를 강하게 후려친다. 아이와 잘 놀아주지 못하는 편이라고 스스로 판단하면서도 별다른 노력은 하지 않는 우직함, 가끔 아이들에게 소리를 질러대서 "엄마는 맨날 화만 내!"라며 원성을 듣는 뻔뻔함을 두루 갖춘 나. 엄마 사용법에 나오는 불량 생명 장난감이 아닐까. 안 늙어서 좋을 것 같기는 한데...... 책을 읽고 스스로에 대해 반성의 시간을 가져 보는 것이 초등학생 이후로 처음인 것 같은 이 기분, 뭐 그리 나쁘지 않네. 아이들을 위한 동화라기 보다 어른들이 봐야 할 동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