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영화를 보라 - 인문학과 영화, 그 어울림과 맞섬
고미숙 지음 / 그린비 / 2008년 6월
평점 :
절판


주로 '쉬고 싶다, 놀자' 이럴 때 영화를 보게 된다. 영화 한 편도 마음 놓고 못 보는 빡빡한 일상이지만 대신 영화 여섯 편에 대한 이야기가 들어간 책을 읽게 되었다. 그런데 읽고 보니 예상과 달리 영화평은 아니었다. 영화에 대한 인문학적 해석이 더 적당할 것이다. 처음에 지루할 것이라던 예상과 달리 재미있게 읽혔다.

 

영화를 보면서 이렇게 많은 것을 생각하는 사람도 있구나! 감탄을 했다. 역시 아는 만큼 보인다? 미술 작품을 보면서 "뭐야, 이게 무슨 의미지?" 라고 생각하는 나. 작품에 대한 역사적 배경과 작가에 대한 지식을 가미한 분석적이고 현란한 평을 마구 쏟아내는 있는 미술 평론가. 저자와 나 사이에는 이런 간극이 있었다. 그래서 인문학자? 영화를 왜 인문학적 견지에서 봐야 하는데? 이러면서 처음에는 약간 삐딱한 시선으로 책을 읽었지만 갈수록 저자의 시선에 동조하고 재미있게 읽고 있는 자신을 발견했다.

 

서편제에서 야나기 무네요시에 의해 한국의 정서는 한이라는 이야기가 보편적 상식으로 굳어져 버렸다는 이야기는

충격적이다. 하지만 항상 우리의 정서가 왜 한(恨)인지 의문을 가졌는데 그 질문에 대한 답인 듯 해서 명쾌함을 느꼈다. 저자가 반미(反美)주의자가 된 사연도 재미있고 공감을 불러일으킨다. 삶과 분리된 예술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실제로 위대한 예술가들은 어떤 고통 속에서도 행복을 만들어냈고, 그들이 주는 깊은 울림은 거기에서 비롯한 것라는 말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해준다.

 

6개의 영화 중 2개는 봤고 4개는 보지 못했다. 이 책을 읽고 라디오 스타가 꼭 보고 싶어졌다.

"별은 말이지, 자기 혼자 빛나는 별은 거의 없어. 다 빛을 받아서 반사하는 거야."

영화를 인문학 관점에서 보기가 생각보다 재미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우리는 모두 별이다. 다른 사람들과 함께 숨 쉬는 아름다운 별이다.

 

▷ 마음에 드는 구절

p.5 '근대'는 내가 지금, 어디에 서 있는가를 말해 준다면, 고전은 내가 '어디로' 가야 하는지를 알려준다.

p.5 위생권력, 민족과 역사, 그리고 언어, 연애와 성, 한의 미학적 장치, 가족과 신, 이동과 접속 등. 이 항목들은 지간 100년간 한국인들의 일상과 무의식을 지배해 온 핵심기제들이다. 

p.17 불투명한 것, 중복된 것, 뒤섞인 것, 경계가 모호한 것들은 가차없이 변경으로 축출된다.

p.28 근대인들은 '서비스 중독증' 환자들이다. 학교가 많아지면 교육 수준이 높아진다고 믿고, 병원이 많아지면 건강이 좋아질 거라고 믿고, 고속도로가 뚫리면 생활수준이 향상될 거라고 믿어 버린다.

p.44 예컨대 하얀 피부, 긴 다리. 에스라인 등 지금 한국인의 몸에 대한 미적 기준은 전적으로 미국식 척도에 맞춰져 있다.

p.64 한마디로 고전적인 사건들을 기술하면서 신비로운 아우라를 다 걷어 내고 평범한 일상의 언어로 재구성해 버린 것이다.

p.66 사실 사투리가 아니라면 이런 식의 노골적인 대사는 절대 불가능하다. 즉, 여기서 사투리를 쓴다는 사실과 자신들의 권력욕을 있는 그대로 드러낸다는 사실은 뗄 수 없이 결합되어 있다.

p.69 박노자의 전언에 따르면, 일제시대에 함경도 사람과 제주도 사람이 만나면 도저히 말이 안 통해서 일본어로 대화를 했다로 한다.

p.71 물론 신채호의 을지문덕주의와 우리 시대의 고구려주의 사이엔 엄청난 차이가 있다. 전자가 일본제국주의의 침탈에 맞서기 위함이었다면, 후자는 이 땅에 미제국주의를 이식하기 위함이다.

p.71 그들에게 나라를 구하는 일보다 집으로 돌아가는 것, 돌아가서 씨를 뿌리고 나락을 거두는 일이 더 중요하다.

p.95 "키에르케고르는 말했다. 사유의 체계는 가능할지 몰라도 삶의 체계는 불가능하다고. 삶이 얼마나 다양한지를 이해하는 사람은 그것을 하나의 이론적 체계로 담으려는 시도가 얼마나 부질없는지도 이해한다. 그런 시도에 대해 삶은 '존재의 낄낄거리는 웃음 소리'로 답할 것이다."

p.108 중세적 체제하에서 문장을 익힌다는 건 성리학적 "도"를 터득하는 일과 분리될 수 없다. 따라서 유학적 도에 무관심하고 정치적으로 소심한 겁쟁이가 최고의 문장가로 이름을 날리기란 절대 불가능하다.

p.134 판소리의 관객층은 초기에는 평민이었다. 그러다 판소리가 널리 유통되면서 19세기에는 양반 관료 부호층이 주요 관객층으로 부상하게 되었다.

p.138 이 영화는 실제 '서편제'에 대한 것이라기보다 20세기 근대문명의 도래 앞에 선 소리의 운명, 나아가 자본의 공세 앞에 선 예술의 행로에 대한 '대서사'다.

p.140 반만 년의 역사 속에서 우리 민족은 늘 외침에 시달렸고, 민초들은 가난과 핍박 속에서 갖은 수난을 다 겪어야 했으며, 그런 슬픔이 쌓여 마침내 한이란 정서로 응결되었노라는 식의 이야기가 한국인의 보편적 상식으로 굳어져 버린 것이다.

p.142 야나기 무네요시 - 조선 역사의 운명은 슬픈 것이다.

p.143 조선의 미는 오직 비애미로 규정되었고, 해학과 낙천성, 신명 나는 해피엔딩 같은 미적 특질들은 변방으로 밀려나고 말았다. .. 그 후 이런 식의 '만들어진 표상'은 소설과 시, 노래와 영화 등을 통해 전방위적으로 확산, 변주되어 갔다.

p.161 한이 쌓이지 않으면 사랑은 순수하지도, 영원하지도 않다는 공식구가 여전히 반복되고 있다. 말하자면, 한의 정서 또한 철저히 '상품화의 경로' 속에서 소비되고 있는 실정이다.

p.165 내가 본 현대예술은 두 가지 얼굴을 하고 있었다. 엄청난 스케일과 화려한 스펙터클로 도시의 판타지를 구성하는 것, 또 하나는 존재돠 무의식의 탐구라는 미명하에 신경병리학적 자의식을 럭셔리한 생채와 추상적 선으로 표현하는 것.

p.166 예술이 일단 '생의 한가운데'에 존재해야 한다. 삶과 유리되어 있으면서 삶의 경이로움을 연출하기란 불가능하다.

p.169 도를 깨닫기 위해선 생사를 넘나드는 결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러고 나선 막상 도란 무엇이냐고 하면 배고프면 밥을 먹고, 목마르면 물을 마시는 것과 같다고 한다.

p.171 실제로 위대한 예술가들은 어떤 고통 속에서도 행복을 만들어 냈고, 그들이 주는 깊은 울림은 거기레서 비롯한 것이다.

p.179 고향을 태어나고 자란 곳이라고 보는 건 실로 피상적이다. 근본적으로 고향은 욕망이 귀환할 수 있는 거처 혹은 욕망의 원초적 대지를 말한다.

p.210 모두가 튀지못해 안달을 하는 시대에 확실하게 튀기란 진정, 어려운 일이다. 하지만, 거꾸로 이런 시대에 결코 튀지 않으면서 담담하게 일상을 유지하기란 웬만한 내공이 아니고선 결코 쉽지 않다.

p.240 별은 말이지, 자기 혼자서 빛나는 별은 거의 없어. 다 빛을 받아서 반사하는 거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