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 중국사상의 뿌리
장현근 지음 / 살림 / 2004년 2월
평점 :


중국사상의 전개약사.

태동 구분 유가 묵가 도가 법가 명가 음양가 잡가 기타 지역적특성 변천으로 분설.

정치 경제 사회 각분야에 대변동이 일어난 춘추시대에 지역적 차이를 반영하는 독특한 사유전개.

유가는 논어 맹자 순자 묵가는 묵자 도가는 노자 장자 열자 법가는 한비자 관자 상군서 명가는 등석자 혜자 음양가는 추자 오덕종시 잡가는 여씨춘추 회남자 기타는 손자병법 오자 춘추좌씨전 등이 대표저작.

도덕주의 유가는 공자가 재정리한 시경 서경 주역 예기 춘추를 기본경전으로 하여 인의예지신을 생활규범화.
왕도정치에 있어서 성선설에 입각한 맹자는 인정 또는 덕치를 성악설에 치중한 순자는 예치 또는 법치를 주장.

공리주의 묵가는 맹자의 의가 천성적 도리임에 비해 묵자의 겸애론과 같은 사회정의를 추구하면서 방법론적 전체주의에 경도.

자연주의 도가는 노자 관자가 통치와 생활에 있어서 무위에 중점을 두어 지지를 받은 반면 장자 양주는 자연상태와 개인주의에 입각하여 통치행위에 반대.

현실주의 법가는 온고지신의 유가 묵가와는 달리 전쟁과 형벌이 부국강병책.
상앙은 인성이익설에 입각하여 경전정책을 한비자는 법 술 세를 혼용한 권모술수를 주창.

논리주의 명가는 전국시대 백가쟁명의 환경하에서 크게 유행하였는데 등석 윤문자는 법가적 형명론에 혜시 공손룡은 양가설에 치중.

우주론자 음양가는 화수목금토 오행의 상생 또는 상극설을 근간으로 추연 등이 자연과 인간관계에 적용.

절충 융합의 잡가는 삶의 지혜를 실용적 가치에서 추구하는 시대말적 경향으로 도가 음양가 법가 묵가 등을 절충한 여씨춘추 도가 유가 음양가 법가 등을 융합한 회남자를 통해 제사상의 장점을 취했으나 논리적 결함은 불가피.

외교전술을 추구한 종횡가의 전국책 병가의 손자병법 오자 육도삼략 등은 이론적 탐색보다는 승리전략에 치중.

자원이 풍부한 산동성 일대의 제나라는 종교와 현학에 독자적인 출발을 보였고 은나라와 주왕실의 태산 남쪽에 위치한 노나라는 윤리와 예법제도로 결정적 영향을 끼쳤으며 중원의 한 위 조는 행정기술로 중국통일에 기여.

천인합일 인문주의 제자백가는 선공후사사상으로 군주전제의 명분을 부여.
법가에 의한 중앙집권은 한무제에 의한 유가제일주의 표방으로 외유내법화하여 제사상의 전개를 억제.

중국사상의 발단 전개과정을 비교적 일목요연하게 적시했으나 지역적 특색과 제사상의 연관성이 다소 미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