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 그리스 사유의 기원
김재홍 지음 / 살림 / 2003년 12월
평점 :


그리스철학 태동의 연원.

헬라스의미 사고의변천 사상적풍토 사유특징 탐구관점 에필로그로 분설.

호메로스와 동시대의 시인 헤시오도스에서 유래한 헬라스세계는 트로이전쟁 호메로스등장 폴리스형성 철학태동 펠로폰네소스전쟁 알렉산드로스를 거쳐 헬레니즘시기로 이행.

헬라스철학의 시원은 신화와 문자화 이전의 세계관이 반영되어 있는 호메로스의 일리아드와 오디세이아.
철학의 맹아는 전체로서의 세계의 근원을 아르케로 포착하려한 헤시오도스의 신통기인바 뮈토스사고에서 로고스사고로의 이행.

지중해의 햇빛이라는 지리적환경은 세계의 본질을 직관적으로 물 불 흙 공기로 환원하고 외부세계에 대한 열망은 경험에서 이론으로 발전.

헤로도토스의 역사에서 다양한 문물에 대한 개방적 사고는 소크라테스의 산파술적 방법론에서 집약.
이집트의 토지측량술의 영향으로 기하학적 사고가 태동하고 조화와 균형에 의한 연역적 사유로 확장.
도시중심의 아고라광장은 시민간 평등의식을 자각.
호메로스와 헤시오도스가 정립한 올림포스의 신은 창조자가 아닌 불멸 불후의 존재이며 솔론 사포
탈레스 아낙시만드로스 아낙시메네스 등을 거쳐 크세노파네스에 이르러 일신론의 관념으로 통일적 원리를 탐색.

헬라스사고의 기원을 탐구하는 관점은 신화 오리엔트 문학 신관 등.
신화는 우주 자연현상 인간 제도 등의 기원에 대한 해석으로 세계와 사회를 객관화하는 인류최초의 교사이며 아리스토텔레스와는 다른 원시논리가 있다는 레비스트로스의 관점과 철학을 탈바꿈한 신화로 보는 콘포드의 입장이 있으나 로고스가 신화로부터 해방되어 탈레스에서 최초의 철학이 발현되었다는 거쓰리의 관점.
이집트의 우주창조설화 바빌로니아의 점성술 조로아스터교의 이원론 페르시아 및 인도의 영혼불멸 내지는 윤회 등 오리엔트의 영향을 받았다는 관점.
서사시 서정시 비극 산문 철학으로 헬라스 정신이 발전했다는 관점.
올림포스 신족의 형성이 인간의 자기실현과 세계이해에 영향을 끼쳤다는 관점.

결론적으로 신화적 사고는 헬라스적 자연관과 과학적 사고에 근본적인 중요성을 부여하며 플라톤 및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에 밑거름.

철학자들의 도식적인 나열이 아니라 그리스 및 근동의 신화와 고대시인들까지 동원하여 다각도로 서술했으나 여러 관점을 인용하면서 논점이 흐려졌고 중복된 논지가 독서를 다소 저해할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