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데니소비치, 수용소의 하루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3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지음, 이영의 옮김 / 민음사 / 199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철의 장막속에 갖힌 수감자 군상들이 펼치는 삶의 단편.

정치나 사상이라는 의식조차 없는 강제노동수용소내의 체제희생물들의 기나긴 어느날의 스케치를 통해 전체주의에 매몰된 개인의 일상성을 조명.

무고하게 간첩혐의로 투옥된 성실한 슈호프를 비롯하여 강직하고 유능한 반장 침례교도인 알료쉬카 영화감독 출신인 체자리 해군중령이었던 부이노프스키 굶주린개와 같은 페추코프 그리고 형제처럼 지내는 두 에스토니아인 등을 통해 생존 책임 종교 예술 권력 양심 협동이라는 다양한 삶의 양태를 묘사.

죽 한그릇이나 빵 한조각을 위한 치열한 경쟁과 속임수 담배꽁초 한개를 위한 저급한 행위도 있지만 열악한 환경에서도 인간의 품위를 지키는 이타적 가치관 빵을 해결하고 난 뒤의 예술과 같은 추상적 사고도 병존.

반원들을 위해 인내로 책임완수를 하는가 하면 과거의 권력을 행사하려다 불이익을 당하기도 하고 어려운 환경을 긴밀한 협력으로 헤쳐나가는 등 등장인물들의 행동유형은 일반사회와 유사.

죽 한그릇을 더 먹었다며 잠자리에서 자족감으로 하루를 마무리하는 슈호프를 통해 역설적으로 개인을 틀에 가두어 사육하는 이데올로기의 전횡을 고발하고 있으나 장별 구분이 없는 수용소의 하루는 길고 긴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