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 대학 1 - 어린이들을 위한 교양의 모든 것
울리히 얀센.울라 슈토이어나겔 엮음, 클라우스 엔지카트 그림, 김서정 옮김 / 주니어RHK(주니어랜덤)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이 책에 대한 사전 정보없이 어린이대학이라는 책 제목을 처음 봤을 때,

왜 궂이 대학이라는 명칭을 넣었을까?라는 궁금증이 먼저 생겼었다.

높은 지식수준을 표현하기 위함일까?하는 생각이 들기도 했었다.

내가 이 책을 읽고 싶었던 이유는 꼭 대단한 지식을 얻고자 함이라기 보다는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들이 기존의 어린이 도서와는 차별이 있어 신선했고, 어른인 나 스스로도 설명하기 어려운 주제들을 다루고 있음이 마음에 들어 꼭 읽어보고, 아이에게도 읽혀주고 싶은 욕심이 생겼다.

 

2002년 여름, 독일의 튀빙겐대학에서 '어린이대학'이라는 강의가 개설이 되었다.

튀빙겐 대학의 특별 강의에 초대된 아이들은 저명한 대학교수에게서 직접 강의를 들을 수 있었고, 잘 들을 수 있을까?라는 우려와는 달리 아이들은 진지하게 강의를 경청하였으며, 그 열기또한 대단했다고 한다.

 

어린이대학은 그 강의내용을 옮긴 책이다.

이 책의 느낌을 표현하자면 진지하고, 신선하고, 독특했다.

 

아이들이 궁금해하는 8가지 주제를 가지고 8명의 교수의 강의로 엮어진 내용이기에, 각 내용 모두 제각각 다른 색깔을 가지고 있다.

이 주제들 중에서 내가 가장 궁금했던 내용은 "사람은 왜 죽어야 하나~"라는 주제였다.

어찌보면 이 제목 하나 때문에 이 책을 읽게 되었다고도 볼 수 있기에, 먼저 읽었던 내용인데, 보통 감성적으로 접근하기 쉬운 죽음이라는 현상을 의학적이고, 과학적인 시각으로 설명하고 있음이 인상적이었다. 

어린이 대학에서의 내용은 흡사 아이의 눈을 바라보면서 조목조목 예를 들어가며 설명해주는 듯한 기분으로 책을 읽게 되니, 눈높이를 맞추면서도 결코 낮지 않은 수준의 강의라고 표현하고 싶다.

 

아이들의 질문을 주제로 삼아서인지, 각 주제들도 아이키우는 부모라면 한번쯤 아이들의 입을 통해 들어봤음직한 질문이다.

"공룡은 왜 멸종됐어요?"

"화산은 왜 불을 뿜어요?"

"왜 어떤 사람은 가난하고 어떤 사람은 부자예요?"
"우리는 왜 우스갯소리에 웃어요?"

"사람은 왜 죽어야 해요?"

"사람은 정말 원숭이에서 진화했어요?"

"학교는 왜 그렇게 지겨워요?"

"이슬람교도들은 왜 양탄자 위에서 기도해요?"

 

우리 아이들의 입을 통해 들었던 질문, 그러나 무미건조하게 대답하거나,

'뭐 그런걸 묻니?', '글쎄~~', '원래 그런거야~', '웃기는 질문이네' 라고 대답해 오던 내용이란 사실에 뜨끔했던 것도 사실이다. 

공룡은 기후변화로 죽었고,

 화산의 불은 화산활동이고,

부자와 가난한 사람은 부지런함과 게으름의 차이,

웃는건 무조건반사,

죽는건 자연현상이고,

원숭이의 진화는 책보면 나오는 것이고,

학교는 원래 지겹고,

양탄자위에서의 기도는 문화야!!

 

딱 이렇게 대답했던것 같다.

이렇게 대답해 온 내 지식까지 깨우쳐주는 쉬우면서도 깊이 있고, 상상할 수 있는 말들을 들을 수 있었다.

 

특히 질문부터 재미있었던 '학교는 왜 지겨워요?"라는 내용은 아이들의 마음을 대변해 주면서 과거 학교가 없었을 때의 모습과 학교가 왜 필요한지, 학교에 다닐 수 없었던 사람들의 고충을 설명해주면서, 학교의 본질을 깨닫게 도와주고 있다.

 

그저 재미가 아닌, 그렇다고 딱딱한 강의가 아닌,

적절한 비유와 적절한 도구를 이용한 어린이강의는 실제로 들었을때 얼마나 좋은 호응을 얻었을지~ 조금은 짐작이 간다.

 

우리가 학문을 익히는데 가장 필요한 것 있다면, 바로 '동기'가 아닐까 한다.

아무리 좋은 학문, 유망한 학문이라 할지라도 그 학문에 흥미를 느끼거나,

왜 배우는지를 모른다면 어찌 진지하고, 흥미롭게 익힐수가 있을까?

아마도 이 어린이대학의 강의를 들었던 아이들은 학문의 참 의미와 참 재미를 느꼈을 것이고,

그로인해 학문에 대한 새로운 눈을 뜨게 되었을 것이다.

 

비록 우리 아이가 어린이 대학에 다닐 수 있는 기회는 없지만,

이 책을 통해 학문을 바라로는 새로운 시각과 흥미, 철학적 사고를 경험할 수 있을것이라 기대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