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의 염장이 - 대한민국 장례명장이 어루만진 삶의 끝과 시작
유재철 지음 / 김영사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죽음은 예고 없이 순식간에 다가오는 것이며, 준비 없이 소중한 이들을 떠나보내야 한다는 것을 이제는 안다. 죽음 뒤에 남겨진 그 허망함과 무기력함 역시도 내 의지와는 상관없이 깨닫게 됐다. 흔히들 고인의 한이 미련이 남아 떠나지 못하기에 홀가분한 마음으로 보내줘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막상 고인을 마주했을 때는 그 말처럼 마음을 다스리기가 쉽지 않다. 고이 보내주자 다짐해도 애써 먹은 마음이 속절없이 무너지고 만다. 그도 그럴 것이 일평생 마음을 주고 살아온 이들을 어떻게 쉽게 놓을 수가 있겠는가.

누군가의 죽음을 겪은지 그리 오래되지 않았다. 타인이 볼 때는 마음을 정리하기엔 충분한 시간이지 않느냐 물을지 몰라도, 나는 아직 그들을 정리하지 못했다. 아마 일평생 마음을 비우지 못할지도 모른다. 내가 죽는 순간이 와야 그들을 함께 떠나보내게 되지 않을까 싶다.

장례지도사 유재철이 써 내려간 죽음의 이야기를 보면서 공감이 된 문장도, 마음이 쓰인 이야기도 많았다. 그가 숱하게 마주했을 고인들의 모습들과 고인의 염습을 하며 수도 없이 되뇌었을 생각들이 책에 고스란히 담겨 있어 나 역시도 숙연한 마음으로 이 책을 읽었다. 장례지도사로서 만난 고인들의 마지막과 장례지도사라는 직업을 가진 저자의 삶에 대한 이야기가 적혀 있다. 개인적으로 고인들의 이야기보단 장례지도사 유재철의 삶에 대한 이야기에 더 관심이 갔고 감명 깊게 읽었다.

저자의 이야기를 보면서 잘 살아내는 방법에 대해 고민하게 됐다. 그리고 그 삶을 잘 마무리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말이다. 내 마지막 모습을 구체적으로 생각해 본 적이 없었는데, 저자의 이야기를 듣고 보니 미리 생각하고 계획하는 것도 의미 있는 일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갑작스럽게, 똑같은 장례문화로 꾸며지는 마지막이 아니라 온 마음을 다해 준비하고 이별하는 마지막이 더 좋지 않을까 싶다. 저자의 책에 실린 이야기처럼 엔딩노트를 써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느끼고 배운 것이 많은 책이다. 우리나라 장례문화에 대해서도 알아볼 수 있어 좋았지만, 순탄하게 흘러가는 장례식을 위해 장례지도사의 역할이 얼마나 크고 대대한 것인지도 알았다. 수많은 고인을 씻기고 관에 뉘여 보내드린 장례지도사의 마음엔 어떤 생각이 자리 잡고 있는지 접해볼 수 있는 책이었다. 새로운 장례방식인 '빙장'에 대한 이야기도 흥미로웠고, 노무현 전 대통령과 삼성 가의 장례 이야기도 인상적이었다. 무엇보다 막연하게 생각해왔던 죽음과 장례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생각해 볼 수 있었고, 죽음을 그저 두렵고 무서운 것으로 여기는 것이 아니라 길었던 생애의 좋은 마무리라고 생각을 전환해 볼 수 있을 것 같다.

여러모로 남는 바가 많다. 삶이 조금 더 흐른 후에 다시 읽어본다면 그때는 느끼는 바가 조금 더 다를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