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화채
대풍괄과 지음, 강은혜 옮김 / 한즈미디어(한스미디어) / 2021년 3월
평점 :
절판


흔히 속세의 인간에게는 정해진 연이 있다고 한다. 서로에게 단단히 묶인 월하노인의 붉은 실이 서로를 운명으로 점지어 사랑으로 인도한다고. 참 사랑스럽고 신비로운 설화가 아닐 수 없다. 물론 아주 오랜 시절부터 전해내려온 동화와 같은 이야기라는 것을 알지만, 어쩐지 진심으로 믿고 싶어질 만큼 간절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도화채>를 읽으면서 월하노인의 붉은 실을 떠올렸던 순간이 많았다. 인간에게 정해진 연이 있는 것처럼 정말 하늘의 신선들에게도 그런 연이 존재할지는 모르겠지만 뭐, 적어도 이 소설에서만큼은 신선 간의 사랑과 연을 그리고 있으니 실제로 있을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했다. 원조 선협 BL이라는 말에 보통의 작품들과는 아무래도 다른 결을 가지려나 싶었는데, 그저 사람과 사람 간의 정을 담은 소설로 봐도 무방할 것 같다. 여느 BL 소설이라는 말이 가지는 거부감이나 낯섬도 딱히 없었고, 하드한 이야기가 아니라 그저 흘러가는 물처럼 지나가는 바람처럼 고요하고 맑기만 했으니 말이다.

금지된 사랑을 나눈 벌로 속인으로 환생한 남명과 천추. 그들을 사랑으로 괴롭게 하라는 옥황상제의 명을 받은 송요. 그런 송요의 오랜 벗인 형문. 네 신선의 운명이 생각지도 못한 방향으로 순식간에 흘러가버렸다. 처음엔 그저 천추와 남명의 길고 긴 시련과 고난에 대한 이야기가 전부일 거라고 생각했다. 그도 그럴 것이 속인으로 환생한 천추와 송요의 관계에 무언가가 두드러지는 것도 아니었고, 남명과 형문에게도 큰 사건이 일어나거나 하지 않았으니까. 때문에 약간은 지루한 이야기라고 느낀 것도 사실이다. 어딘지 심심하고 부족한 이야기처럼 느끼기도 했고. 하지만 후반부에서 밝혀진 송요의 과거가 나를 이렇게 아련하고 슬프게 만들 줄은 몰랐다.

후반부에서 가장 빛을 발하는 소설이었다고 생각한다. 우연히 선단을 얻어 신선이 된 송요의 과거에 이런 이야기가 숨겨져 있을 줄은 몰랐는데, 길고 긴 이야기들이 모여 만들어낸 결말은 꽤나 만족스러웠던 것 같다. 송요가 환생을 거듭하는 장면이 특히 마음에 들었고. 그의 환생을 오랫동안 지켜봐온 형문이 어쩐지 애달팠달까. 전반부의 지루함이 후반부에서 상쇄되는 느낌이었다.

사실 이야기의 흐름이 그다지 매끄러운 작품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개연성이 부족하다는 느낌도 분명 있었고, 상황도 급작스럽게 전개됐고, 인물의 감정의 흐름이 어색한 부분이 꽤 많았으니 말이다. 때문에 분명 조금은 허술한 이야기라는 느낌을 받기도 했다. 하지만 그 모든 것을 감내할 만큼 줄거리는 나쁘지 않았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사랑에 대해 꽤나 깊은 고찰을 하게 되었으니 말이다.

거스를 수 없다는 하늘의 뜻을 넘어 정해진 인연을 버리고 새로운 사람을 사랑하게 되었다면, 그 대단한 하늘의 뜻이 인간의 사랑과 간절함 앞에서는 무용하지 않을까 하는. 그렇다면 사랑은 날 때부터 분명하게 정해진 것인지, 아니면 스스로의 노력으로 충분히 뒤바꿀 수 있는 것인지 하는. 아마 아무리 답을 찾아 꼬리에 꼬리를 물어도 풀리지 않는 난제가 되지 않을까 싶지만 말이다. 아쉬운 부분도 없지는 않았지만, 왜 아름다운 이야기라고 극찬을 받았는지 짐작할 수 있는 소설이다. 소설의 제목과 꼭 잘 어울리는 이야기 덕에 쉬이 잊히진 않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