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름맞이 추리소설 10문 10답 이벤트!


북마크하기여름맞이 추리소설 10문 10답 이벤트!추리소설 10문 10답 이벤트




알라딘도서팀 (이메일 보내기) l 2010-07-16 11:35


http://blog.aladin.co.kr/editors/3923185






본문의 너비가 페이퍼의 제한 너비를 초과한 글입니다. 여기를 클릭하면 새창에서 원래 너비의 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설문 복사를 위해 텍스트로 덧붙입니다. 
---------------------------------------------

1. 가장 최근에 완독한 추리(장르)소설은?  문은 아직 닫혀있는데

2. 당신이 살해당했다고 가정했을 때, 사건해결을 맡아줬으면 하는 탐정은? 반대로 절대 가까이 하고 싶지 않은 탐정이 있다면?   맡아주면 하는 탐정은 엘러리 퀸. 당신의 똑똑함을 믿어요. 맡지 말아야 할 인물은 긴다이치 코스케. 여러명이 죽어 나더니 "전 알고 있었습니다"라고 외치는 이 양반이 맡다간 내가 아는 사람 다 죽어나간다.

3. "휴가길, 이 책 한권 들고 가면 후회없다!" 널리 추천하고픈 추리(장르)소설은?   쥐스킨트의 '향수' 술술 읽힌다.

4. 지금 당장 책 살 돈이 10만원 생긴다면, 가장 먼저 장바구니에 담을 추리(장르)소설은? 북하우스의 '말로'시리즈. 매력적인 문체, 매력적인 탐정.

5. 지금까지 읽은 추리(장르)소설 중 가장 충격적인-예상외의 결말을 보여준 작품은?(단, 스포일러는 금지!) 크리스티의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

6. 우리 나라에 더 소개되었으면 하는 추리(장르)소설 작가가 있다면? 존 딕슨 카. 여러 권 나왔지만 나는 아직 배고프다.

7. 올해 상반기 출간된 추리(장르)소설 중 최고작을 꼽는다면? 카의 '초록 캡슐의 수수께끼'

8. '셜록 홈즈'와 '아르센 뤼팽' 역 배우를 내맘대로 캐스팅해본다면? 홈즈는 영국 배우 '휴 로리', 뤼팽은 젊은 '알랭 들롱'이 가장 잘 어울릴듯.

9. 지금까지 읽은 추리(장르)소설 중 가장 '괴작'이라고 생각하는 작품은? 카의 '세개의 관', 야마구치의 '살아있는 시체의 죽음'. 이런 상상을 하시다니...

10. 생사에 관계없이, 실제로 가장 만나보고 싶은 추리(장르)소설 작가가 있다면. 돌아가신 분중에선 작위도 받으신 크리스티 여사님. 살아계신 분 중에선 스티븐 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Ellery Queen's Mystery Magazine: Twelve of the Best Mysery Short Stories  

전문가 11인이 선정해서 1950년 7월호에 발표.



1  Thomas Burke - The Hands of Mr. Ottermole  버크 - 오터몰씨의 손 

 2  Edgar Allen Poe - The Purloined Letter  포 - 도둑맞은 편지  

 

 

 

 

 

 

 

3  Arthur Conan Doyle - The Red-Headed League  도일 - 붉은 머리 연맹 (셜록 홈즈의 모험)
 

 


 

 

 

 

 

 

  

 

4  Anthony Berkeley - The Avenging Chance 

5  Robert Barr - The Absent-Minded Coterie 

6  Jacques Futrelle - The Problem of Cell 13 푸트렐 - 13호 독방의 문제 

 



 

 

 

 

 

 

 

 7  G. K. Chesterton - The Invisible Man  체스터튼 - 보이지 않는 남자 (브라운 신부의 결백)
 


 

 

 

 

 

 

 

 

8  Melville D. Post - Naboth's Nineyard  포스트 - 나보테의 포도원 (엉클 애브너의 지혜)
 

 


 

 

 

 

 

 

9  Aldous Huxley - The Gioconda Smile 

10  H. C. Bailey - The Yellow Slugs 

11  E. C. Bentley - The Genuine Tabard 

12  Dorothy Sayers - Suspicion  세이어스 - 의혹 (의혹)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 태생의 추리 작가 에드워드 호크(Edward D. Hoch)가 1981년에 출간한 'All but Impossible!'에 수록됨.
추리 소설 관계자들이 선정함. 

영어권 작품 (영국 제목 / 미국 제목) , 비영어권 작품 (원제 / 영어 제목) 




1. John Dickson Carr  :  The Hollow Man  /  The Three Coffins (1935)  존 딕슨 카  :  세 개의 관 (경이로운 트릭)  

  


 

 

 

 

 

  

 2. Hake Talbot  :  Rim of the Pit (1944)  

 3. Gaston Leroux  : Le Mystère de la Chambre Jaune  /  The Mystery of the Yellow Room  (1907)  가스통 르루  :  노란 방의 비밀  (빼어난 트릭과 지루한 글 솜씨의 만남) 

 

 


 

 

 

 

 

 

 

 

4. John Dickson Carr  :  The Crooked Hinge (1938)  존 딕슨 카  :  구부러진 경첩  (너무나 유명한 트릭)

 

   

 

 

 

 

  

 

   

5. Carter Dickson  :  The Judas Window  /  The Crossbow Murder  (1938)  존 딕슨 카  :  유다의 창  

   

 

 

 

 

 

  

 

 

6. Israel Zangwill  : The Big Bow Mystery (1892)  이스라엘 윌 : 빅 보우 미스터리 ( 19세기에 발표된 가장 놀라운 작품중 하나일듯 하다)

  

 

 

 

 

 

 

 

7. Clayton Rawson  : Death from a Top Hat (1938)  클레이튼 로슨 : 모자에서 튀어나온 죽음

 

 

 

 

 

 

 

 

8. Ellery Queen  : The Chinese Orange Mystery (1934)  엘러리 퀸  :  중국 오렌지의 비밀 (시공사 시그마북스 시리즈로 봤으나 현재는 절판)   


  

 

 

 

 

 

 

  

 

 

 

 

9. Anthony Boucher  : Nine Times Nine (1940)
  


10. Carter Dickson  : The Ten Teacups  /  The Peacock feather Murders (1937)  



11. Ellery Queen: The King is Dead (1952)  엘러리 퀸  :  킹은 죽었다 (트릭은 기억 안 나지만 시그마북스중에서 '트럼프'와 함께 별로였던 작품)    

 

 

 

 

 

 

   

 

12. Helen McCloy: Through a Glass Darkly (1950)  헬렌 매클로이  :  어두운 거울 속에   

 

 

 

 

 

 

 

 

 

 

 

 

 

 

 

 

13. John Dickson Carr  : He wouldn't Kill Patience (1944)  

 

14. Randall Garret: Too Many Magicians (1967)  랜달 개릿  :  마술사가 너무 많다  

 

 

 

 

 

 

   

 15. John Sladek  : Invisible Green (197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출처 : 로쟈 > 최고의 고전번역을 찾아서2(진행중)

교수신문에 연재되고 있는 고전번역비평이 <최고의 고전번역을 찾아서>(생각의나무, 2006)로 출간된 것이 작년 여름이었다(http://www.aladin.co.kr/blog/mylibrary/wmypaper.aspx?PaperId=922415). 23종의 고전에 대한 평가와 분석을 싣고 있었는데, 그게 1차분이었고 이 연재물은 계속 책으로 묶일 것이라고 예고된 바 있다. 이번에 그 2차분으로 24종에 대한 번역비평이 출간됐다. <최고의 고전번역을 찾아서2>(생각의나무, 2007). '우리말로 옮겨진 고전 무엇을, 어떻게, 읽을 것인가'란 부제 그대로 일종의 가이드북이다.

가끔씩 연재된 글들을 읽어보곤 했는데 필자에 따라서 좀 들쭉날쭉한 감이 없지 않지만(그거야 실제 여행 가이드들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아닌가?) 그렇다고 일독의 필요성이 감소되지는 않는다. 우리가 대체 무얼 먹고 있는 것인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는 것처럼, 우리가 대체 무얼 읽고 있는지 점검해볼 필요가 있다. 우리 정신의 양식(먹거리)은 안전한가, 혹은 어떻게 요리해먹는 것이 건강에 가장 유익한가 알아둘 필요가 있는 것이다. 그 내용이야 책을 손에 들고 휘리릭 읽어보면 알 수 있는 것이고, 여기서는 추천번역서의 리스트만을 모아놓는다.

1.도덕경 - 노자

 

 

 

 

김시천 교수(호서대, 동양철학)는 김용옥의 <길과 얻음>(통나무)와 함석헌의 노자(단행본으로는 출간돼 있지 않다)를 우리말  번역의 전범으로, 최진석의 <노자의 목소리로 듣는 도덕경>(소나무, 2001)과 김홍경의 <노자>(들녘, 2002)을 새로운 연구성과가 반영된 번역으로 꼽았다.

2.성학십도 - 이황

 

 

 

 

김기현(전남대) 교수는 2000년 이후에 출간된 번역서들 가운데, 조남국(교육과학사, 2000), 이광호(홍익출판사, 2001), 최영갑(풀빛, 2005)을 추천할 만한 번역서로 꼽았다. 그래도 한권을 고르라면 가장 최근에 나온 번역본. 중학교 3학년 이상이면 누구나 읽을 수 있게 번역되었다고.

3.성호사설 - 이익

 

 

 

 

<성호사설>(1740년경)은 "성호 이익이 책을 읽거나 혼자 세상일에 대해 사색하면서 그때그때 생각난 것들을 비망록 형태로 써뒀던 것을 그의 학문을 계승한 집안 자제들이 정서해 3,000여 항목으로 정리한 책"이라고 한다. 매우 다양한 분야를 다룬 방대한 분량의 책이란 걸 짐작해볼 수 있다. '정본'이 따로 있는 것인지도 모호한데 민족문화추진회에서 <국역 성호사설>을 12권으로 간행한 바 있다 한다. 하지만 이 판본의 경우엔 "비록 각주를 달아 어려운 내용을 설명하고 있더라도 번역문만 읽으면 무슨 뜻인가 알기 어려운 것들이 있기에 일반일들이 접근하기 어려웠다"고.

정해렴의 <국역 성호하설>(현대실학사, 1998)은 이런 점을 감안하여 낸 3권짜리 선집이다. 그리고 최석기 교수의 <성호사설>(한길사, 1999)은 이보다도 더 접근이 용이하도록 항목수를 365개로 줄이고 문장도 가다듬어 낸 책. 축약본이더라도 좋은 길잡이가 될 수 있다는 게 안영상 교수(안동대)의 조언이다.

4.목민심서 - 정약용

 

 

 

 

심경호 교수(고려대, 한문학)는 (방대한 완역본을 제외하면) 대중적인 선역본으로 민족문화추진회의 <목민심서1,2>(솔출판사, 1998)와 정해렴 편역주(현대실학사, 2004)와 다산연구회 편(창비, 2005)을 추천할 만한 번역서로 꼽았다. "선역본으로는 민족문화추진회 편, 정해렴 편역주, 다산연구회 편역이 모두 훌륭하다. 민족문화추진회본은 한글세대를 위한 쉬운 우리말 풀이가 돋보인다. 단, 이 책은 12편 72조의 원래 체제를 따르지 않고 六典을 뺀 나머지 6편 36조만 담았다. 이에 비해 다산연구회 편역은 분량을 줄이긴 했지만 12부 72조로 구성된 체제를 유지한데다가 대중을 위해 번역에 상당히 공을 들였다."

5.역사 - 헤로도토스

 

 

 

 

헤로도토스의 <역사>는 비교의 건덕지도 없이 박광순(범우사, 1987)이 유일한 완역본이자 중역본이다(영역본과 일역본을 참조한 것으로 돼 있다). 오흥식(성균관대, 서양고대사) 교수에 따르면, 중역본이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박 선생의 번역은 쉽게 읽을 수 있는 그리고 큰 오역은 발견할 수 없는 훌륭한 번역이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상세한 각주도 달려 있다." 몇 가지 흠은 전공자들의 완역본을 채근한다는 의미가 있겠다.  

6.변신이야기 - 오비디우스

 

 

 

 

<변신이야기>의 경우에 현재 시중에서 구할 수 있는 번역본은 천변희의 <원전으로 읽는 변신이야기>(도서출판숲, 2005)와 이윤기의 <변신이야기1,2>(민음사, 1998) 정도이다. 강대진(건국대, 서양고전학) 교수에 따르면, 이윤기본은 고유명사 표기 문제 외에 중역본이 갖는 일반적인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고, 천병희본은 편집상태에 약간에 문제가 있다(가독성이 떨어지는 것은 역설적으로 원전에 충실한 때문이라고).

결론은 이렇다: "나는 아무래도 늘 원전을 봐야 하는 처지인지라 천병희 교수의 번역을 앞세우고 있지만, 사람마다 취향과 필요가 다르니 저마다 자신에게 맞는 판본을 선택하면 될 것이다. ‘변신이야기’를 신화집으로, 매끄러운 문장의 작고 부담 없는 판형으로 읽고 싶은 분은 이윤기 역을, 이 작품을 문학작품으로, 원전에 충실한 장중한 문장으로 읽고 싶은 분은 천병희 역을 보면 되겠다. 내가 이처럼 다소 무책임하게 산술적인 중립성을 가장하는 것은, 숲출판사의 판본이 너무 두껍고 무겁기 때문이기도 하다. 고전의 무게에는 걸맞지만, 오비디우스의 가벼움에는 어울리지 않는 물성(物性)이다."

7.고백록 - 아우구스티누스

 

 

 

 

6종의 국역본 가운데, 문시영 교수(남서울대, 윤리학)가 추천하는 번역본은 선한용 역(대한기독교서회, 2003), 최민순 역(성바오로출판사, 1999)이다. "최민순 신부의 번역은 라틴 원전에서 번역된 것으로, 시인다운 번역의 미려함이 두드러진다는 평을 받는다. 그래서인지 가톨릭계열 학자들이 적극 추천하는 번역본으로 꼽힌다. 특히 문학적 표현방식이 라틴원문 번역의 맛을 더해준다. 또 하나의 추천번역본은 선한용 박사의 번역으로, 아우구스티누스에 관한 전문적 식견을 가진 번역이라는 점에서 가치를 인정받을만하다. 특히 아우구스티누스의 문제의식을 깔끔한 어법으로 번역하고 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싶다."

8.돈키호테 - 세르반테스

 

 

 

 

너무나도 잘 알려진 이 고전의 경우 김경범(서울대 연구교수)의 추천작은 김현창 역(범우사)과 민용태 역(창비사)이다. 가장 최근에 나온 박철 역(시공사, 2004)이 빠진 건은 아직 미완결이어서이다. 하지만 더 좋은 번역의 가능성은 항상 열어두고 있다는 게 총평인데, 고전이라면 으레 그러한 것이 아닌가 한다.

9.신기관 - 프랜시스 베이컨

 

 

 

 

진석용 교수의 <신기관>(한길사, 2001)이 유일한 완역본이다. 이준호 교수(동아대, 서양철학)는 이 번역본의 특징으로 "첫째,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많은 곳에서 원문에 없는 말을 ‘[ ]’로 묶어 삽입했다. 둘째, 역자가 정치외교학을 전공한 사람이라고 믿기 어려울 정도로 철학 등 다양한 영역의 관련 내용 역주를 첨부했다. 셋째, 번역문이라고 느끼기 어려울 정도로 문장이 아주 자연스러워 번역서에 대해 일반인들이 흔히 가질 수 있는 거부감이 전혀 없다."는 점을 지적한다. 하지만 한편으론 지나치게 의역이 많은 점을 단점으로 꼽는다.

10.방법서설 - 르네 데카르트

 

 

 

 

김상환 교수(서울대, 철학)가 검토대상으로 삼은 국역본은  김형효(삼성출판사, 1982), 최명관(서광사, 1983), 이현복(문예출판사, 1997) 3종이다. 김형효 교수의 번역은 "일본식 번역어가 거의 그대로 차용되었고 문장 자체도 요즘 세대의 감각과 너무 동떨어져 교재로 삼기 힘들다"는 단점이 지적된다("이 책은 1980년대 초 일본 학자들의 연구가 어느 정도 수준에 이르렀는지를 엿볼 수 있는 자료이다"). 그리고 최명관 교수의 번역은 "적어도 번역문의 정확성이나 완성도로 치자면 제일 먼저 꼽아야 할 작품"이지만 "작은 글씨로 빡빡하게 조판된 편집"과 "의역보다는 직역에 치중해 원문과 대조하지 않고 읽을 때는 걸리는 대목이 종종 나타난다"는 점이 걸림돌이다.

끝으로 이현복 교수의 번역은 "많은 삽화와 사진을 곁들이고 활자의 크기도 키워서 일단 펼치면 시원한 느낌을 주는 편집부터 강점인데다가 원문의 이중부정을 긍정문으로, 수동문을 능동문으로, 사물주어를 사람주어로 바꾸어 가독성을 높였다"는 게 강점. 그럼에도, "결정적으로 원문의 뜻을 훼손하는 부분은 없어서 교양 도서로서는 무난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지만, 고전번역에서 요구되는 학문적 엄밀성과 수사학적 세련성을 기준으로 할 때는 아직 고치고 보완해야 할 점이 많다"고 지적된다.

11.법의 정신 - 몽테스키외

 

 

 

 


12.국부론 - 애덤 스미스

13.파우스트 - 요한 볼프강 괴테

14.악의 꽃 - 샤를 보들레르

15.종의 기원 - 찰스 다윈

16.카라마조프 가네 형제들 - 도스토예프스키

17.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 막스 베버

18.말테의 수기 - 라이너 마리아 릴케

19.변신 - 프란츠 카프카

20.마의 산 - 토마스 만

21.옥중수고 - 안토니오 그람시

22.이방인 - 알베르 카뮈

23.과학혁명의 구조 - 토머스 쿤

24.미디어의 이해 - 마셜 맥루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