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음의 탄생
전정숙 지음, 김지영 그림 / 올리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이가 한글을 몰랐을 때, 이런저런 책들을 찾아봤지요. 그중 자음과 모음의 모양을 재미있는 그림으로 표현한 책들이 눈에 띄었어요. 기역, 니은, 디귿, 이런 순서대로 자음의 모양을 익히고, 그와 마찬가지로 ㅏ, ㅑ, ㅓ, ㅕ, 이런 차례로 모음의 모양을 익힐 수 있겠구나 싶었고요. 자음과 모음 자석 놀이를 병행하면 기본 글자는 확실히 익힐 수 있겠다고 생각했지요. 그런데 글자 형태를 익힌 다음에는 어떤 과정이 필요할까 생각해보게 되더라고요. 그 답을 알려주는 그림책을 만났어요. 바로 <자음의 탄생>입니다.


재미있는 그림으로 기본 글자를 익혔다면, 이제는 글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아는 게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물론 아직 한글을 모르는 영유아들도, 이 책으로 여러 자음과 친해질 수 있습니다. 참고로, 올리 출판사에서 같은 저자의 이름으로 천지인(하늘과 땅, 사람)을 기본으로 만든 모음에 대한 책도 출간되어 있으니 함께 살펴볼 수 있을 거예요.


이 책은 훈민정음의 자음 기본 글자 ㄱ ㄴ ㅁ ㅅ ㅇ을 소개합니다. 사람의 발음 기관 모양이나 움직임을 본떠서 만들었다는 내용을 전제로, 몽글몽글한 공기 덩어리들이 어둡고 울퉁불퉁한 동굴로 들어가 글자가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여기서 동굴은 물론 입속을 의미하지요. 어금닛소리 글자 ㄱ부터 혓소리 글자 ㄴ, 입술소리 글자 ㅁ, 잇소리 글자 ㅅ을 거쳐 목구멍소리 글자 ㅇ까지, 간결한 그림과 함께 각 글자의 탄생을 보게 됩니다. 모두 팀을 구성했지요. ㄱ ㅋ ㄲ이 한 팀, ㅁ, ㅂ, ㅃ, ㅍ이 한 팀, 이런 식으로요.


아, 그런데 갑자기 어디선가 구불구불 기어오는 글자가 있네요. ㄹ인데요, 이 글자는 어느 팀에 들어가야 할까요? 이 그림책에서 확인해보세요. 훈민정음의 자음 글자가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책 말미에서 보충 설명도 살펴볼 수 있어요. 문득 학창 시절 좋아했던 고전 문학 시간도 떠올랐네요.

자음 기본 글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알고, 그 원리에 따라 각 글자를 같은 팀으로 묶었다면 자음 익히기 끝! 이제는 모음과 만나러 갈 시간이지요. 아이도, 저도 재미있게 소리내며 읽어본 그림책이었습니다.




[출판사가 제공한 책으로, 개인의 주관대로 작성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