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품의 배신 - 우리는 왜 청결해야 하는가
제임스 햄블린 지음, 이현숙 옮김 / 추수밭(청림출판)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는 의대 출신의 기자로서, 5년째 샤워를 하지 않고 있단다. 언젠가 샴푸 대신 비누나 물만 사용하는 '무푸'를 소개한 일본 번역본을 본 적이 있는데, 이 책은 어떤 근거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전개할지 궁금했다. 최근 피부 미생물 생태계를 일컫는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이라는 개념이 대두되면서, 저자는 그동안의 비누 및 피부 관리 상식을 재점검하자는 것을 전제로 한다.


피부에 모낭충이라는 미세한 진드기가 서식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피부 마이크로바이옴을 구성하는 진드기와 수조 규모의 작은 생명체들은 기존의 '세균 원인설'을 뒤집는다. 즉, 질병을 피하려면 미생물을 퇴치해야 하는 게 아니라, 미생물 대부분은 무해하고 우리가 살아가는 데 필수로 받아들여야 하는 존재라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청결'을 정의하는 현대적 개념의 기원을 거슬러 올라가고, 비누의 탄생 및 제조 과정, 미국 내 비누업계의 광고와 성장, 오늘날의 마케팅 전략 등을 흥미롭게 담아낸다. 피부에 바르는 콜라겐이 아무 소용 없는 이유, 잘못된 정보 중 하나로 알려진 펩타이드 성분이 무엇인지도 밝혀준다. 피부 관리 제품인 비누, 화장품, 의약품 가운데 비누, 화장품에 대한 관리, 규제가 얼마나 느슨하고 소비자가 아닌 제품 판매자에게 유리한 상황인지도 알려준다.


미국 내 특정 비누업계를 예로 들어 어떤 광고 혹은 속임수와 매출 이익이 있었는지 서술하는 대목에서, 건강 비누로 브랜드 이미지를 선보인 라이프보이가 소개된다. 거기서 나온 데오도란트는 비누와 함께 필수품이 된다. 경쟁하듯 체취방지 비누 분야는 커지고, 항균 비누가 나오기에 이르는데 1970년대 연구에 따르면 헥사클로로펜은 피부를 통해 신경계까지 영향을 미친다. 당시도, 지금도 FDA에 성분을 공개하는 것은 의무가 아니란다.


FDA가 그 성분을 일정 양 이상 포함한 제품의 리콜을 발표했으나, 이미 상당량이 의료용과 미용 제품에 사용된 후다. 이 성분은 트리클로산으로 대체되고 항균 성분을 표방한 전 제품의 공통 성분이 되는데, 이후 이 성분이 알레르기와 유방암, 갑상선 기능 장애, 호르몬 교란 등과 연관된다고 알려지고, 2014년 트리클로산이 간 종양 성장을 촉진한다는 연구가 발표된다. 결국 항균 성분 17종은 안전 증거 불충분으로 비누에 첨가하지 못하게 되고 2017년 시장에서 사라진다.


저자는 항균 화합물인 파라벤의 위험성도 지적한다. 유럽연합은 2012년 파라벤을 금지시켰으나 미국에서는 아직 조치를 안 하고 있다고. 이 책을 읽으면서, 유해성분 금지 현황을 비롯한 규제와 관리가 우리나라에서는 어떠한가 궁금해졌다.


이 책을 통해, 숨쉴 때 나는 냄새 대부분이 입이나 목에 있는 미생물에서 나온다는 사실, 사람 사이의 짧은 신체 접촉이 주는 혜택이 무수히 많다는 내용도 확인해본다.


저자는 각자 고유한 피부에 사는 고유한 마이크로바이옴과 고유하게 조정된 면역체계가 있고 이것이 우리 몸에 사는 미생물, 우리가 노출되는 대상, 우리의 유전적 소인과 더불어 상호작용한다는 핵심을 상기한다. 이 책의 목적은 샤워를 하지 말고 비누도 쓰지 말자고 강권하는 게 아니라, 기존에 고착화된 청결 개념을 재고해보자는 것, 오늘날 피부 관리를 열심히 하지만 오히려 최소의 관리가 최선일 수 있다는 맥락을 전한다.


이 책으로, 위생 혁명의 태동부터 미용 산업의 이면까지 살피고, 피부 관리 차원의 비누와 청결제 사용에서 진일보한 시각 곧 피부 미생물과의 공생, 균형, 몸의 건강, 환경 문제로 확장해볼 수 있다. 이 책은 미국 의학전문기자가 자료를 모으고 관련 전문가들을 인터뷰한 내용을 바탕으로, 미국 내 비누업계를 총망라한다. 한국판 <비누의 배신>도 나와준다면, 좀 더 현명한 소비자가 되는 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남는다.




[출판사가 제공한 책으로 개인의 주관대로 작성된 글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