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문화유산 청동기 비밀을 풀다 - 다뉴세문경, 비파형 동검, 신라 범종 재현기(再現記)
이완규 지음 / 하우넥스트 / 2014년 6월
평점 :
절판
사람의 능력의 무한함을 이 책에서 본다.그는 한국의 7대 불가사의 다뉴세문경을 재현하는 기염을 토한 청동 주물 에서는 자타가 공인하는 장인이다.기계에 의존하여 제작되는 주물로는 찾아보기 힘든 그의 작품은 세계적인 정평이 나있다.시대가 사람을 만드는 것인지 아니면 세월이 흘러야 그 사람의 진가를 알수 있는 것인지는 역사가 판가름 해줄 것이다.나의 실력을 남에게 보여준다는 것은 대단한 경지이다.
장인의 손에 의해 구현되는 문화재의 재현은 돈을 벌기 위한 수단은 더욱 아니다.나는 이 책에서 저자의 집념을 볼 수 있다.그 사람이 훌륭하다고 인정하는 것에 사람들은 인색하다.내가 못하는 것에 힘을 쏟아 일생을 바치는 장인들의 피땀 어린 수고는 박수받을 가치가 충분하다.우리나라가 이런 고전을 무시하고 역사 운운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장인 이완규가 보여주는 신의 한 수를 이 책에서 본다.
책상 머리에 앉아 자료만으로 판단하기엔 뭔가 부족한 것을 이완규 장인은 채워주고 있다.먹고 살기가 지금은 나아졌다고는 하나 아직도 전통의 계승을 위한 후계자는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옛장인 들은 글을 몰라 자료를 남겨놓질 못했다.먹고살기위한 궁여지책이라기 보다는 전수를 받을 후계자가 없었다고 생각할 수 가 있다.다뉴세문경은 교과서 책에서만 보던 것을 만났다.
돌에 쇳물을 부으면 가스가 빠져나오지 못해 폭발한다는 것이 상식이지만 장인은 활석에 조각을 한 뒤 다뉴세문경과 청동검을 만들어내었다.그간 학자들은 다뉴세문경을 흙 거푸집으로 만들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는데,청동 주물을 해보지 않은 학자들로서는 이완규의 행동이 도저히 이해 안 되는 일인 것이다.장인의 집념이 책으로 만들어져 이렇게 나에게까지 올 줄은 꿈엔들 생각했으랴 !
유물을 고정관념이 아닌 현장에서 칠전 팔기의 수많은 노력으로 재현했다.이것은 자신과의 싸움이다.내가 재현한 간두령(竿頭鈴)등 이형청동기들은 분명 병장기들인데,학자들은 이를 제사의식에 사용한 제기(祭器)라고 주장하고 있다며 간두령을 나무 양쪽에 꽂으면 훌륭한 무기인 봉(棒)이 된다고 말하였다.장인은 청동 유물을 재현하면서 우리 민족이 당시 최고의 청동 문화를 창조해 내었다고 확신한다.
청동 유물은 채광 기술과 합금 기술, 주조기술, 문양 조각 등 어느 것 하나라도 빠지거나 모자라면 만들 수 없다는 것,그는 당시 청동 유물 제작은 최고의 하이테크였고, 현재 중국의 동북공정을 막을 수 있는 유물이라고 확신하고 있다. 비파형 동검(조선검) 신라 범종(梵鐘) 그외의 다양한 아시아쪽의 종들을 소개하고 주조 기술등을 소상하게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