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새롭지 않은 새로움에게 새로움의 길을 묻다
임웅 지음 / 학지사 / 2014년 6월
평점 :
창의력은 왜라는 의문에서 시작된다. 창의적인 생각은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인가? 창의는 가르쳐지고 향상될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책이다.창의의 재조명을 본다.두 개의 창의 창의를 판단하는 기준은 적절성의 딜레마 새로움은 사실 두 가지였다.새로운 새로움은 어, 내가 몰랐던 사실인데! 새롭지 않은 새로움은 아, 나도 알고 있었는데 저자는 이러한 사실을 토대로 이 책에서 말하고 있다.
도대체 무엇이 창의적인 것일까? 내가 보지 못했기 때문에 그래서 내가 새롭다고 느끼면 그건 모두 창의적인 것일까? 아니면 무엇을 알 만한 나이가 아닌 사람이 그 말을 하면 그 사람은 창의적인 사람인 걸까? 다시 말하면,수소결합이 감소한다는 답을 화학을 전공하는 박사과정이 말하면 창의적이지 않지만, 초등학교 2학년이 말하면 창의적인 것일까? 창의적인 생각은 도대체 어떻게 만들어지는 것일까?
비록 은밀하기는 하지만 정확한 제조 공정이 존재하고 이를 알기만 하면 누구나 창의적인 사람이 될 수 있을까? 아니면 창의란 타고난 천재가 그들만의 독특한 능력으로 어느 순간 영감을 얻어 만들어 내는 신비한 것일까? 사실 창의는 이미 우리에게 한 없이 익숙한 말이지만, 여전히 모호하고 비밀스럽다.나와는 다르게 천재라는 이름표를 붙인 그들은 도대체 어떤 사람들일까? 의문을 가지고 찾으면 답이 있다.
창의를 만드는 네 가지 비법을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다. 촘촘한 지식의 구조를 갖자! 고착을 인식하는 습관을 기르자! 다른 폴더를 여는 힘, 인문학적 교양을 갖추자! 타인을 존중하고 협력하는 인성을 기르자는 것은 단순하지만 많은 것을 내포하고 있다.창의를 만드는 재료를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다.우리가 말하는 천재는 생물학적인 유전의 결과일까 아니면 사회적으로 유전되는 천재일까를 다루고 있다.
유독 인간만이 진화한다.그것은 창의력이라는 힘에 의해 진행되는 결과라고 볼 수 있다.이 책에서 말하는 것은 인간사고의 특징에 대해 말하면서 휴리스틱스에 대한 논의를 펼친다.진화의 고민을 들어보고 네트워크로 만들어지는 머릿속 세상을 볼 수 있다.창의력을 만드는 사고창의가 궁금한 모든 사람들을 위한 새로운 이 책은 지금까지 우리가 알던 익숙한 창의가 아닌,조금은 낯선 장소로 우리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