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뭐라도 합시다
이철희 지음 / 알에이치코리아(RHK) / 2014년 2월
평점 :
왜 진보는 단일화를 했는데도 실패했을까? 저자는 그 이유를 후보의 역량보다는 정당의 역량에서 먼저 찾는다.새누리당과 민주당 간에 무상급식 찬반구도가 형성되어 안철수의 지지선언과 더불어 박원순이 당선할 수 있었다. 그런데 왜 이 흐름이 대선까지 이어지지 못했을까? 박근혜가 이렇게 선명했던 여야의 대결 구도를 없애버렸기 때문이다.
새누리당도 무상급식을 지지하고 복지정책을 펴겠다고 나서자 정책적 차별성이 흐려지고 결국 인물선거로 돌아서고 말았다.국회에서 시끄러운 도떼기시장 분위기가 자주 목격되는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지역에서 뽑힌 각 대표들이 모여 자원을 배분받기 위해 법을 만드는 곳에서 서로 많이 가져가기 위해서는 싸울 수밖에 없다.다만 싸우는 행태와 담론의 주제가 무엇인지는 고민해봐야 한다.
그렇기에 무조건적인 비난보다는 합리적 비판이 무엇보다 중요하다.지역주의와 계파주의 또한 한국사회의 심각한 고질병이다. 저자는 뿌리 깊은 지역주의는 탈지역주의에 의해서가 아니라 계층 인식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고 말한다. 지역이나 세대적 접근보다는 계층적 접근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또한 친박, 친노 등 계파주의에 대해서는 사람 중심이 아닌 연대할 수 있는 가치 중심으로 엮여야 한다.
친박의 박은 거슬러 올라가면 박정희의 박이다.그렇다면 친박이 아니라 그 시대가 구현했던 좋은 가치만을 중심으로 내세워야 한다.친노도 노무현의 가치를 계승하겠다면 참여파등과 같은 가치를 내세워야 한다.밥그릇 챙기기에서 벗어나서 공동의 가치 연대를 세워야 할 시점인 것이다.저자가 말하는 정치판에 끼어들 국민은 없다.그러나 그들도 기억해야 하는 것은 국민의 한표가 소중하다는 것이다.
국민의 의식수준이 100 이라볼 때 정치의 수준은 과연 몇이라는 숫자로 정할 것인가를 생각하면 답이 안나온다.저자 이철희는 우리 정치를 어떻게 보고 있느냐 이 책에서 우리에게 말하고 있다.뭐라도 합시다.생활은 선진국 정치는 후진국이라면 공감이 가는가 마냥 어린아이처럼 자리다툼에 패싸움, 날치기통과 등 일상화된 일들은 이제 새롭지가 않다. 누구나 투표를 하고도 시원찮은 것은 무엇일까!
저자는 이 책에서 말하기를 어느 날 갑자기 정치가 달라지기를 기대하는 건 로또 당첨보다 더 비현실적이다.정치가 달라지면 그때 정치에 관심을 갖겠다는 자세는 쇠붙이가 썩기를 기다리는 것이나 다름없다.지금 이 순간 멍하니 있으면 정치는 내 삶의 변화를 가로막는 장애물이 될 뿐이다.바꾸려면,우리 뭐라도 하자고 외치고 있다.우리가 정치를 외면할수록 누군가는 이득을 봅니다.
알아서 기지 맙시다! 담벼락에 욕이라도 합시다! 뭐라도 합시다! 라고 이 책에서 말하고 있다.진보는 시끄러운 깡통, 보수는 답답한 꼴통 무엇이 그들의 발목을 붙잡고 있는 것일까? 사회가 어수선하면 정치판은 난장판이 된다.지난 대선 이후 많은 사람들은 한동안 정치적 감정마비를 겪어야 했다. 특히 진보성향에 가까웠던 중도의 상당수는 진보세력에게서 등을 돌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