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중2병 엄마는 불안하고 아이는 억울하다
이진아 지음 / 웅진윙스 / 2013년 8월
평점 :
절판
사춘기를 흔히 질풍노도의 시기라고 표현하지만 요즘의 아이들은 정말 어디로 튈지가 걱정이다.감정의 기복이 심해지고 신체의 이상징후가 나타나는 시기이기 때문에 여간 조심스러운 일이 아니다.이 책의 저자는 40대의 엄마라는 것이 이 책의 장점이다.그것도 중2병의 정점을 막 찍고 서서히 내려오고 있는 딸을 둔 엄마이다.속타는 엄마들을 대상으로 강의를 할 만큼 입소문난 리더십 강사이다.
저자가 말하는 중2병의 실태를 살펴보고 그가 제시하는 대처방법을 이 책에서 배워본다.중2병을 앓고 있는 500명의 아이들을 직접 만나거나 설문을 통해서 면밀히 분석했다고 한다.청소년을 대상으로 하는 진로 캠프와 상담 그리고 리더십 함양 워크숍에서 만난 10대들과 깊게 소통했다.이렇게 만난 아이들과 생활하고 공감하면서 저자는 중2병은 심각한 병이 아닌 지나가는 신드롬이라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서로가 공유한다는 것은 새로운 공감대를 형성하는 것인데 부모들은 요즘 아이들의 유행어나 좋아하는 성향을 잘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빠르게 진행되는 인터넷의 확산으로 부모들이 따라가기는 역부족이다.그래서 아이들은 말이 통하지 않는다라고 이야기한다.부모의 통제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아이들이 심하면 가출을 하기도 하고 나쁜아이들과 어울리기도 한다.
무방비로 노출 되어진 인터넷상의 성에 관한 영상이나 뉴스들에 아이들이 본다는 것이다.가정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 사춘기 자녀를 둔 부모들이 반항하고 대들며 욕하는 아이들을 감당하지 못해 “키워보지 않으면 모른다.”며 그 괴로움을 토로하고 있다. 또한 자녀가 사춘기의 정점인 중2병에 다다르면“중2병이라 그래!”라며 엄마들끼리 아이의 이상한 변화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며 탄식한다
서로 바라보기 분석 결과 엄마와 아이의 상반된 입장차이가 극명하게 드러나는 경우,속마음과 달리 표현 부족으로 상처를 주고받는 경우 상대방에 대한 이해의 차이를 매끄럽게 극복하지 못한 경우 등 상대방의 마음을 알지 못해 관계가 멀어지는 원인을 도출해냈다.이 흥미로운 결과를 분석해 이 책에서 중2병을 10가지 유형으로 나누고 50가지의 리얼 스토리와 함께 명쾌한 솔루션 100개를 담아내고 있다.
욕을 하며 대드는 아이,가오 세우려고 담배와 술을 하는 허세 작렬인 아이,문 걸어 잠그고 말 안하는 아이,이성친구와 과감하게 스킨십 하는 아이,성형수술 시켜달라는 아이,왕따를 당하거나 왕따의 주동자가 되는 아이,게임에 미쳐 아침에 PC방 가는 아이 등 픽션같은 이야기들이 펼쳐진다.중2병 걸린 아이들을 문제아 취급하는 사회적 분위기에 그저 지나가는 성장과정일 뿐 이라고 일침을 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