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왜 식량이 문제일까? - 10대에게 들려주는 세계 식량 이야기 ㅣ 왜 문제일까?
캐슬린 게이 지음, 김영선 옮김, 윤병선 도움글 / 반니 / 2013년 7월
평점 :
인구가 늘어나면서 식량의 부족함 때문에 인간은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하기위해 유전자 변형을 서슴치않고 진행했다.과연 그렇게 만들어진 식량을 먹는 사람은 괜찮은 것일까! 이 책에서는 그 많던 식량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하는 의문은 아직도 미스테리이다.광우병등 우리가 에상하지 못했던 것들이 나타나며 먹거리에 균형이 깨진것을 우리는 알고 있다.그러한 것들을 하나 하나 짚어가며 이 책은 말한다.
매일의 식탁에 올라오는 채소와 과일 식재료들을 믿을 수 있고 먹을 수 있는가 하는 의문은 공통된 의문이다.먹거리를 둘러싼 여러 가지 문제들을 균형 잡힌 시각으로 설명해주는 책이 오늘 소개하는 책이다.전문가적인 면에서가 아니라 청소년의 눈높이에서 이 책은 시작한다.그들은 우리들의 미래이기 때문에 모두가 함께사는 먹거리의 미래를 만들어가는 데는 이만한 교육이 없다.
국제 식량원조는 해마다 늘어나는데 굶주려 죽는 사람들은 들어나는지 먹거리 속에 감춰진 비밀을 파헤치고 있다.
국제식량원조 체계의 허점은 무엇인지,유전자 변형 농산물이 약속하는 장밋빛 미래는 실현 가능한 것인지,전염병이나 오염 등 여러 가지 재앙으로부터 우리 먹거리를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조립라인을 이용해 동물들을 사육하고 도살하는 거대한 공장식 축산업의 잔인함과 동물의 권리 보호 등 먹거리와 관련한 다양한 문제들을 균형 잡힌 관점에서 이 책은 보여주고 있다.
현대의 기업적 농사법은 환경을 오염시킬 뿐 아니라 농민들,심지어 식품을 사 먹는 소비자들에게도 해롭다.이것을 해결할 방법은 무엇일까를 짚어보고 지구의 기후가 점점 더 따뜻해짐에 따라 해수면이 상승하고 식물의 생장기가 변하고 깨끗한 물이 부족해지면서 먹거리와 관련된 정책들은 점점 더 복잡해지고 있다.물론 여기에는 한 가지 해답만이 있는 것은 아니다.녹조의 발생하는 원인과 그 결과를 들어본다.
이러한 문제들을 이해하고 앎으로써 똑똑한 선택을 하는 소비자로 거듭나는 것이 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아무리 환경을 강조해도 굶주림과 싸우는 배고픈 사람에게는 아무소용이 없다.요즘의 공장식 농업의 빛과 그림자가 무엇인지 이 책에서 살펴본다.그 산업화된 농업에서 우리는 풍족한 식량을 얻었지만 건강에는 적신호가 오고 있다는 것이다.
지구의 온도의 상승과 이상기후의 변화는 먹거리와 밀접한 관계로 이어지고 어떻게 하면 미래를 먹여 살릴 수 있을까하는 문제를 생각해야하는 현실이다.잘사는 사람들의 수장들이 모여서 회의를 하는데 들어가는 음식의 비용이 실로 엄청난데 음식을 못먹어서 굶주린 저들에게 식량으로 공급된다면 하는 아쉬움은 누구나 공감하는 것이고 보면 먹거리와 정치인들의 행보는 청소년들에게는 어떻게 비춰질지....
아직도 우리 인류에게 해결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면 그것은 바로 삶의 가장 기초적인 먹는 것에 대한 것이다.한쪽은 식량이남아돌아 수출을 해야하고 한쪽에서는 굶주림이 허덕이며 저녁을 굶고 잠이드는 사람이 태반이다.에이즈,말라리아,결핵으로 한해 죽어가는 사람보다 굶어서 죽는 사람이 많다고 하면 믿을 수 있겠는가! 왜 식량이 문제인가! 이 책에서 그 문제를 살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