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목 사장 분투기 - 개정판, 자영업으로 보는 대한민국 경제 생태계
강도현 지음 / 북인더갭 / 2014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자영업 위기의 시대를 뚫고 나갈 대안은 무엇인가? 솔직히 딱 부러지는 대안은 없다. 이미 자영업 생태계가 붕괴된 지 오래다. 우선 자영업자 수가 너무 많다는 것은 이제 단골 경제 기사다. 요즘 들어 자영업 위기에 대한 언론 기사가 쏟아지고 있다. 답답한 것은 알면서도 뛰어들 수밖에 없는 게 자영업자의 비극이다.

 

 

 

자영업자가 늘어난 것은 경제가 어려울 때마다 실직자들이나 미취업 청년들에게 창업을 유도했기 때문이다. 그로 인한 치열한 경쟁 속에서 그들의 삶은 더욱 더 피폐해져 갔다. 누가 어제의 카드사의 우수고객이 오늘의 신용불량자로 만들어 버렸나를 생각하면 억장이 무너진다.늘어나는 마트의 횡포와 골목으로 내몰리는 자영업의 현실 앞에 빚지고 태어나 빚갚다 죽어간다.

 

 

 

결국 실패하면 일어설 수가 없는 것이 현실이다.꼬박꼬박 월급을 받던 직장에서 짐을 싸야 하는 상황이 되었다. 아직 살아갈 날은 많고, 돈 들어갈 데는 천지다. 그런데 그 나이에 번듯한 새 정규 직장을 잡는다는 것은 하늘의 별 따기다. 그럴 재주가 있었다면 원래 직장에서 더 오래 버텼을 것이다.은퇴자들의 무덤 누가 자영업자를 만드는가는 100%공감이 간다.

 

 

퇴직 후 카페를 만들어서 장사를 시작하려 해도 권리금이 만만지가 않다.법적 근거 없는 권리금 자영업자 잡는 은밀한 덫으로 작용한다. 자영업자를 위한 대책 한국적 솔루션을 이 책에서 제안하고 있다.망하지 않기 위한 10계명 800만 명 골목 사장님들께 이 책의 저자는 자신있게 전하고 있다.



현재의 자영업 쇼크는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향후 30년가량 지속될 고용 충격의 시발점이 될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지금이라도 이 같은 장기 충격에 대비한 정책과 제도를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 그런데도 정부는 자영업이 늘어나 오히려 겉으로 드러나는 실업률이 낮아지는 현상을 고용대박 이라고 떠들며 희희낙락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