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자본주의는 어떻게 우리를 구할 것인가
스티브 포브스 & 엘리자베스 아메스 지음, 김광수 옮김 / 아라크네 / 2011년 11월
평점 :
자유시장에서는 창조, 성장, 파괴가 동시에 일어나지만...
경제적 실패를 유발시킬 수 있는 존재는 막강한 시장지배력을 보유한 정부뿐이다.그동안 일자리를 보전하기 위해, 예컨대 워드프로세서를 버리고 옛날 방식의 타자기를 고집했다면 지금 우리는 어디쯤 와 있을까,티브 포브스의 자본주의에 대한 오해 그리고 진실을 들어본다.자유시장은 약자에게 타격을 입히지 않는가 그가우려하는 점은 무엇인지 이 책에서 밝혀준다.
경제가 실제로 작동하는 방식을...
자본주의에 대한 허울뿐인 수식어들을 무색케 한다.자본주의는 자유시장과 부의 창조 사이에서 오락가락하는 사람들로부터 그릇된 오해를 받았던 것이 사실이다.자본주의에 대한 오해 그리고 진실을 살펴본다.스티브 포브스는 수많은 지식인들이 민주자본주의 체제에 대해 가진 오해들을 지적해 낸다. 경제가 사회에 끼치는 영향력은 실로 엄청나다.
적개심에 가까운 표현들을 사용하는 현실을
자본주의는 실패했는가로부터 시작하는 그의 글은 자본주의의 도덕적,이기적인가를 질문하며 자유시장의 바탕은 탐욕인가, 신뢰인가를 말하며 이익을 내는 것은 부도덕한가라는 질문을 하고 있다.자본주의를 오해하는 근본적인 배경에는, 자유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거래가 탐욕에서 비롯되며 한쪽이 다른 한쪽을 견제하는 적개심을 나타낸다고 한다.
착취한다는 악의적인 관념이 도사리고 있다.
현실은 그 반대이다. 자본주의의 바탕은 탐욕과 착취가 아니라 신뢰이다.왜 자본주의에 대한 오해가 경제가 나쁠 때뿐 아니라 좋을 때에도 국민 정서에 그토록 짙게 자리하는 것일까? 시장경제의 가장 큰 수혜자이며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 이 체제를 교묘하게 이용해 온 수많은 사람들이,그 성공의 원천인 자본주의를 매도하는 것은 역설이 아닐 수 없다.
부자들을 때리는 것은 선거 기간에 표를 얻기 위해서는 효과적일 수도 있다.
이러한 현실세계에서 부자들은 결코 빈민들을 희생시켜 부를 쌓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그 반대가 진실이다. 삶을 풍요롭게 만드는 상품과 서비스를 생산하며 일자리를 창출해내는 혁신 사업에 투입될 자본을 조성하거나 또는 제공함으로써 사람들의 기대와 욕구를 충족,이 과정에서 자신들의 부를 형성한다. 부의 축적과 정치적인 논리를 이 책에서 보여준다.
현실 경제의 작동 원칙은...
사람들의 기대와 욕구를 충족시키는 데는 자유시장이 최선이다.자유시장에서 타인의 기대와 욕구를 충족시키도록 이끄는 것은 탐욕이 아니라 자기 이익이다. 역동적이고 상호이익을 추구하는 민간 부문만이 자유시장에서 성장과 번영을 창조할 수 있다.그가 얘기하는 현실세계에서 가장 효과적인 규제는 통행 규칙을 수립하는 것과 시장을 미시적으로 관리하겠다는 시도를 포기하는 것이다.
정부는 경제문제를 해결하기는커녕 정치화하는 경향이 있다. 최선의 경제부양책은 세율 인하와 시장 개방으로 민간 부문의 족쇄를 풀어 주는 것이다. 세수를 늘리려면 세율 인하를 통해 조세 기반을 확장시켜야 한다. 보호무역을 하면 살려내는 일자리보다 사라지는 일자리가 더 많다. 자본주의 사회의 명암을 진단하는 이 책에서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