멘토가 간절한 서른에게
김해련 지음 / 초록나무 / 2011년 10월
평점 :
절판


서른을 이립() 하여 마음이 확고하게 도덕 위에 서서 움직이지 않는다는 뜻이며 자신의 체험에 바탕을 둔 공자의 말이다. 그러한 서른에 멘토가 간절히 필요한 시점이다. 저자는 이 서른의 심리를 다루며 우리에게 필요한 멘토의 중요성을 이 책에서 보여준다. 자신의 꿈을 펼치기 위해서는 과감한 자기 혁신이 필요하다. 이런 과정중 인간관계는 대단히 중요하다.

 

 

상대를 먼저 배려하는 마음에서 왕따를 당하지 않는 회사 생활의 심리,남의 영역을 건드려야 좋은 결과가 나온다고 저자는 말한다. 이십대 초반에 입사하여 서른이 되면 그 분야의 전문가 수준에 도달한다.때로는 한계점에 도달할 때도 있다.그러나 원칙의 뿌리를 내려야 한다고 조언한다. 서른 뿌리를 점검하여 더 튼튼하게 설수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고 저자는 이 책에서 말한다.

 

 

 

전략적 사고와 객관화 훈련을 거듭하여 스스로를 존귀하게 여겨라 그것이 비록 거북이의 걸음이라도 결국에는 이기는 결론을 가져온다. 지구촌의 생활화에서 세계가 나의 무대인 것을 인식하고 스스로를 키워 나가는 글로벌 성장의 자기 리더쉽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원칙과 원론을 지켜나가는 서른이 희망이라고 저자는 강조한다.

 

 

 

서른의 삶과 꿈 이 책에서 그 길을 제시한다. 당장은 진심이 통하지 않아 속상하고 허망한 느낌이 들더라도, 그 순간을 모면하기 위해 거짓의 나로 포장할 수는없지 않은가. 수시로 변하는 사람의 마음에 휘둘리기보다 시간진정성의 힘을 믿는 편이 갈등해결에 도움이 된다. 소통을 할 때는 먼저 관점을 바꾸어보는 것이 중요하다. 내 관점이 아니라 상대방 관점에서

 

 

 

문제를 볼 줄 알아야 한다. 그래야 서로간 허심탄회하게 해결점을 찾을 수 있다.상대방의 입장과 상황을 먼저 고려하고 배려하려는 노력이 있어야 갈등의 실마리가 풀린다. 자기감정에 지나치게 빠져 그 어렵게 들어간 직장을, 그토록 사랑하던 일을, 쉽게 포기해버린다. 하지만 냉정히 들여다봤을 때 지금의 상황은 그저 스쳐 지나가는 사소한 감기일 뿐, 벼랑 끝이 아니다.

 

 

그러니 빨리 벗어나야 한다. 무엇보다 회복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가질 필요가 있다. 스스로가 지금 슬럼프에 빠져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고 벗어나기 위해 애써야 한다. 힘들겠지만 끊임없이 자신을 살려내는 연습을 해야 한다. 슬럼프에 더 깊이 빠지지 않도록 불안하고 불쾌한 기운과 싸워야 한다.인간은 죽을 때까지 발전해도 완벽할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조금 더 나아지기 위해 매일 공부하고 노력해야 한다. 노력하다 보면 예상치 못했던 뜻밖의 기쁨도 얻는다. 그것은 주위 사람들이 나의 성과를 인정하고 칭찬해서 얻는 기쁨과는 다르다. 목표를 향해 정당한 방법으로 달려가고 있고 이제 그 목표치에 도달하려면 20퍼센트 정도 남았다면 조금 더 앞으로 나아가도 괜찮다. 충분히 그 목표를 달성할 자격이 있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