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프터 워크 - 가정과 자유 시간을 위한 투쟁의 역사
헬렌 헤스터.닉 서르닉 지음, 박다솜 옮김 / 소소의책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프터 워크 퇴근후의 시간을 또는 일을 어떻게 줄일 수 있을까?일과 가정,자유 시간에 대한 냉철한 분석과 실천적 대안을 제시하고 있는 책이다.이 책에서 우리는 노동시간에 허덕이지 않고 자신의 시간을 갖기 위한 준비를 해야 한다고 적고있다.가정과 자유 시간을 위한 투쟁의 역사를 짚어준다. 생존을 위해 임금노동에 복종하는 사회구조 안에서,일하는 시간을 줄이고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탈노동은 주로 남성 위주의 산업과 일자리에만 집중해 왔다고 본다.




가사노동으로 대표되는 사회 재생산 노동은 그리 주목을 받지 못했다.가정이라는 공간에서 벌어지는 일의 변화를 살펴보고 우리의 미래를 내다보는,더없이 소중하고도 긴급한 요리,청소,육아,돌봄 등과 같은 가사노동이 어떻게 이전의 전통 사회보다 현대 생활에서 더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게 되었는지를 역사적으로 관련된 장벽과 난관,불평등 문제를 논의한다.좀 더 구체적으로는 재생산 노동 담론에서 가장 필요한 네 가지 요소,기술의 발전,사회적 기준 강화,가족 형태의 변화,주거 공간의 실험에서 제기된 다양한 주장과 시도를 사례로 들면서 지금보다 더 자유롭고 자기 주도적인 삶을 위한 실천적 대안을 모색한다.




자본주의가 지배하는 세상에서 대부분의 사람은 생존하기 위해,임금을 받기 위해 스스로 노동에 복종한다.다른 사람이나 조직에 시간을 팔아넘기고 통제권까지 넘겨준다는 의미 우리는 길바닥에 나앉아 배를 곯고 빈곤하게 살게 될까봐 두려워서 일을 하고 있다.불안감이 그 어느 때보다도 팽배해지고 많은 이들이 인공지능과 자동화 같은 혁신적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인간의 일자리가 급격히 줄어들 것이라는 예측을 내놓고 있다.더 적게 일하고 시장에 대한 의존을 줄이려는 새로운 탈노동 사회로의 길을 모색해야 할 때라고 저자는 이 책에서 말하고 있다.




주목해야 할 부분은 임금노동이 아니라 미래의 노동자를 키워내고, 현재의 노동인구를 재생시키고, 일하지 못하는 사람을 부양함으로써 사회 자체를 재생산하고 유지시키는 사회 재생산이라는 일이다.2014년 한 해 동안 영국에서는 장기 무보수 돌봄 노동에 81억 시간이 소요되었고,미국인들은 알츠하이머를 앓는 가족을 무보수로 돌보는 데에만 180억 시간을 썼으며, 국제노동기구(ILO)에서는 데이터를 보유한 64개국에서 하루 동안 이루어지는 무보수 노동시간이 164억 시간에 달한다고 추산한다.모든 사람이 일을 자유롭게 선택하고 성차별적인 가사노동을 공평하게 분담할 수 있는 효율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