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학교, 학생이 주도하는 교실
이보람 외 지음 / 두드림미디어 / 2023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 학교,학생이 주도하는 교실 이 책의 저자들은 초등학교 교육에 몸담은 지 15년 안팎의 교사들이다.이들은 교사와 학생 모두가 행복한 교실을 만들기 위해 학교 교육의 변화를 꾀하며 함께 노력하고 있다.교육에 대한 중요성을 새삼 느끼게 되는 요즘 이 책에서 말하고 있는 것은 평범한 교사와 학생이 만든 남다른 교실 풍경일수도 있겠다.배움을 위한 다양한 상황이나 맥락을 이전의 학습 경험에 비추어 스스로 선택하고 결정,그에 대해 성찰하는 등의 과정은 새로운 배움으로 전이되고,학생은 실제 자기 성장을 꾀하는 것으로 기대된다.




현직 초등학교 교사 4명은 학생이 실제 자기 성장을 위한 진짜 배움을 실현시킬 수 있는 장으로써 학교 교육이 앞으로 더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것은,학생의 주체적 역할이라고 힘주어 말하고 있다.지금까지 연구하고 실천해온, 학생의 생성권과 주도권 보장 교육은 이러한 학생의 주체적 역할을 강조하는 것으로,교육 현장에서 그들이 노력해온 실천 기록을 이 책에서 보여주고 있다.배움을 나누고 공유한다는 것은 학생 저마다 익힌 내용이나 결과 등을 다른 사람에게 다시 가르친다는 뜻으로 이해할 수 있다.학생들은 주로 배우고 익히는 활동에 몰입해왔기 때문에,다른 사람을 가르쳐본 적은 거의 없다.가르칠 수 있어야 제대로 아는 것이다라고 가르칠 때 더 많이 배우고 성장한다라는 말의 뜻을 새겨야 한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학생의 생성권과 주도권 보장을 위해 교육을 직접 경험한 아이들의 생생한 소감을 더했고,학교 교육의 새 패러다임으로 학생의 주도성을 강조하고 있는 교육자들의 논문 몇 편도 소개한다.교사와 학생이 모두 행복한 학교를 꿈꾸며 평범한 교사와 학생이 만들어가는 남다른 교실 풍경을 만나보는 값진 기회가 될 학생 생성권은 학생의 삶을 학교 교육과정 속으로 끌어와 실제 깊이 있는 배움과 성장을 유도한다.




학생 생성권이 학교 교육으로 보장된다는 것,자기배움의 오롯한 주체가 되어,개인과 사회의 웰빙(Well-being)을 실현시킬 미래 교육으로의 가치가 더 커진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는데,학생 수준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 협력적 배움 모둠을 구성하는 방법은 교사마다 다양할 수 있다는 것,배움 주제를 찾고 구체적인 활동을 계획한 후 그 실행 과정에서 겪는 다양한 경험,학생의 실제 성장을 이끄는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는 이 경험을 다른 사람과 나누고 공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얼마나 잘 배웠는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을 유도하기 때문이다.이들이 말하는 미래학교,학생이 주도하는 교실 이 책에서 그 열쇠를 찾아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