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입문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사이구사 미쓰요시 지음, 이동철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사이구사 미쓰요시는 불교학자이다.그의 많은 저서중 한 권이다.불교는 석존 이래 약 2,500년의 역사와 동아시아의 다양한 여러 민족에 종교로 현재에 이르고 있다. 불교의 시작인 인도 불교를 주제로 이 책을 풀어간다.인도에서 시작된 불교의 근원은 수많은 사람들의 사상과 실천의 여러분야에서 영향을 주고있다.불교는 무엇을 말하는지 불교 용어,개략,불교의 성립,불교의 특질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인도 불교의 초기,중기,후기로 나누어서 설명하고 불교의 사상에 대해 논하고 있다. 불교라는 용어는 메이지 시대에 쓰이기 시작했다.중국에서는 예전부터 흔히 불가라고 칭했는데 이윽고 그 안에서 천태종이나 화엄종등의 여러종이 창시되어 그 각자의 가르침을 각각 종교라고 명명했고 이 호칭은 일본에도 널리 유포되었다.이 책은 불교의 시작과 대승불교와 소승불교를 비교하여 풀어주고

밀교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대승불교가 오랫동안 전승되는 동안에 그 교의에서 독창성도 신선함도 잃고 다소 정체의 기미를 나타내면서 새롭게 채용된 주술적인 활동들이 마침내 독립하여 밀교를 형성한다.초기 경전에 관해 그 형식 등을 면밀히 탐색하여 그 차이를 판정하여 보면 현재 불교사상의 연구의 필수로 나타나고 있다.그리고 불교에서 사용하는 단어에 대해서도 잘 설명하고 있다.


남전불교는 일찍이 인도불교의 보수파에 속하는 상좌부의 전통을 계승하여 교단의 양상 등도 팔리 성전에 충실하여 지난날과 닮았다고 간주된다.동아시아의 각각 전체 인구에 대한 불교도의 비율은 스리랑카70% 미얀마85% 태국95% 캄보디아90% 라오스80% 또한 대승불교인 베트남은 80% 라고 한다.중국 불교 전래는 다양한 전설로 수식되고 있다.

불교를 신봉하는 서역인이 기원 전 후 무렵 중국에 유입,이주하였고 이것이 중국 불교의 기원이 되었을 것이다.한반도의 불교는 해동 불교라고도 칭하는데 전반적으로 호국 불교의 전통이 단단하며 교리 면에서는 종합적인 색채가 짙다.한역 대장경에 근거를 두면서 걸출한 학승과 고승도 적지 않지만 사원의 가람등에는 도교나 민간 신앙의 흔적도 엿볼 수 있다.

일본의 불교는 여러 문화와 함께 상당히 오래전부터 전해졌는데 애초에는 도래인 사이에서 이윽고 점차 일반의 민간인에서도 신봉되었다.일본 불교는 거의 전부가 여러 종파에 의한 종파 불교로 시종하였으며 대승불교에 근거하면서 형식적인 승과 속의 구별이라는 저류에서조차 재가 불교의 색채가 현저하게 짙다.


티베트의 불교는 티베트의 승려이자 학자인 파스파가 제왕의 스승으로 영입되어 몽골에 티베트 불교의 보급을 촉진한다.이 후 '달라이라마'라고 부르는 법왕이 계승한다.라마는 최고의 스승을 의미하는 것으로 '라마교'라는 명칭을 티베트 불교도는 사용하지 않으며 이교도만이 사용하고 있다.이 한권의 책으로 불교를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그러나 불교에 대한 최소한의 궁금증은 해결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